Others Xe 기체를 사용한 플라즈마 응용

2004.06.19 16:12

관리자 조회 수:21324 추천:266

Xe 기체는 특히 여기가 잘되는데, 여기 반응 후 ground state로 떨어질 때 방출하는 빛 파장이 일정합니다. 대개는 UV 빛이 나오고 있으며 이때 나오는 빛이 단일 파장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각종 광학기기기의 calibration등에 활용할수 있습니다.

아울러 PDP에도 소량의 Xe 기체가 첨가되는데 이 또한나오는 UV에 의해서 PDP 셀 내의 발광물질을 여기시켜 가시 광선영역의 빛(Red, Green, Blue)을 발하기 때문입니다. 마치 형광등과 같은 원리이나 빛의 삼원색을 각기 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Xe lamp에는 고전압 DC 방전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 형성되는 플라즈마가 arc 영역의 플라즈마가 될 가능성이 있으나 이런 경우에는 전극의 수명이 매우 짧게 될 것이빈다. 하지만 빛의 세기는 매우 세어서 눈이 부실 정도 이상입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07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39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0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4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53
42 ECR ion source에서 plasma가 켜지면 RF reflect가 심해집니다. [2] 822
41 DBD Plasma Actuator 원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818
40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817
39 Si Wafer에 Plasma를 처리했을때 정전기 발생 [1] 814
38 라디컬의 재결합 방지 [1] 814
37 새집 증후군 없애는 플러스미 - 플라즈마에 대해서 [1] 793
36 코로나 전류에 따른 발생되는 이온의 수와, 하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763
35 RPS를 이용한 유기물 식각장비 문의 [1] 762
34 주파수 증가시 플라즈마 밀도 증가 [1] 738
33 반도체 METAL ETCH 시 CH4 GAS의 역할. [1] 737
32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723
31 Remote plasma source의 주파수 400kHz 이유 [1] 659
30 N2 GAS를 이용한 Plasma에 대한 질문 [1] 638
29 챔버 시즈닝에 대한 플라즈마의 영향성 [1] 630
28 진공수준에 따른 RF plasma 영향 관련 질문 [1] file 624
27 연속 Plasma시 예상되는 문제와 횟수를 제한할 경우의 판단 기준 [1] file 600
26 CCP RIE 플라즈마 밀도 [1] 597
25 조선업에서 철재절단용으로 사용하는 가스 프라즈마에 대한 질문 [1] 576
24 핵융합 질문 [1] 574
23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52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