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

플라즈마를 상압상태정도의 고압으로 올려서 사용하게 될 경우
이온의 온도가 올라가 플라즈마가 기판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해결방안이나 도움이 될만한 자료를 얻고 싶습니다.

답변 ::

매우 어려운 문제입니다. 저희도 유사한 문제에서 많은 고민을 합니다만 현재 사용하는 장치의 개요가 없는
상태에서는 무어라 답변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일단 기판에 damage가 플라즈마 이온의 온도에 대한 영향임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이온 보다는 대기압 정도의 고압에서 가열된 중성개스 입자에 의한 영향을 생각합니다. 만일 이온에 의한
영향이라면 이온 표면까지 도달하기 힘든 조건을 만들어야 할 것이며 이 방법으로는 전기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이나 쉽지 않겠지요, 혹은 충돌성이 높음으로 이온으로 존재하는 거리가 짧을 것입니다.
따라서 충분히 플라즈마 소스로 부터 거리를 멀리하여 해결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좀더 자세한 논의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가 요구됩니다. 위의 사항을 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1] 7718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5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5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9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29
44 공동형 플라즈마에서 구리 전극의 식각 문제 [2] 6373
43 수중플라즈마에 대해 [1] 8772
42 상압 플라즈마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1] 8156
41 ICP dry etch 장비에서 skin depth가 클수록 좋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1] 24422
40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1] 20315
39 [질문] ICP plasma 를 이용하여 증착에 사용하고 있는데요. [3] 24377
38 대기압 플라즈마 40721
37 플라즈마로 처리가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1] 16053
36 광플라즈마(Photoplasma)라는 것이 있는가요? 23428
35 surface wave plasma 에 대해서 [1] 18559
34 CCP 방식에 Vdc 모니터링 궁금점. 23279
33 상압 플라즈마 관련 문의입니다. [1] 21522
32 PECVD 매칭시 Reflect Power 증가 [2] 24994
31 RF를 이용하여 Crystal 세정장치 [1] 18882
30 glass 기판 ICP 에서 Vdc 전압 21781
29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한 세정장치 21550
28 대기압 상태의 플라즈마 측정 19735
27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20633
26 RF 플라즈마와 Microwave 플라즈마의 차이 95832
25 Plasma source type 7972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