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환경업체에 다니고 있는 황성구라고 합니다.

플라즈마 관련해서는 제가 너무 모르는 분야라 자료를 찾기도 힘들고 그래서 염치불구하고 이곳에 글을 남겨봅니다.

제가 이번에 회사에서 플라즈마 관련해서 연구과제를 맡은게 있습니다.

수중방전을 통해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 것인데요.

이때 수중에 용존되어 있는 NH3(암모니아성질소), NO3(질산성질소)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제 생각에는 플라즈마가 생성되면서 나오는 전자가 NH3(암모니아성질소), NO3(질산성질소) 이온들을 깨서

N과 H로 분리 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플라즈마 공정을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플라즈마로 이 이온들을 깨는게

이론적으로나 실제적으로 가능한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pilot 플랜트를 만들어서 해보려고 하는데, 이왕이면 처음부터 실현 가능한 방법으로 공정을 만들려고 합니다.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08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39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0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49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58
42 ECR ion source에서 plasma가 켜지면 RF reflect가 심해집니다. [2] 822
41 DBD Plasma Actuator 원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818
40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817
39 Si Wafer에 Plasma를 처리했을때 정전기 발생 [1] 814
38 라디컬의 재결합 방지 [1] 814
37 새집 증후군 없애는 플러스미 - 플라즈마에 대해서 [1] 793
36 코로나 전류에 따른 발생되는 이온의 수와, 하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763
35 RPS를 이용한 유기물 식각장비 문의 [1] 762
34 주파수 증가시 플라즈마 밀도 증가 [1] 739
33 반도체 METAL ETCH 시 CH4 GAS의 역할. [1] 737
32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723
31 Remote plasma source의 주파수 400kHz 이유 [1] 660
30 N2 GAS를 이용한 Plasma에 대한 질문 [1] 638
29 챔버 시즈닝에 대한 플라즈마의 영향성 [1] 630
28 진공수준에 따른 RF plasma 영향 관련 질문 [1] file 624
27 연속 Plasma시 예상되는 문제와 횟수를 제한할 경우의 판단 기준 [1] file 600
26 CCP RIE 플라즈마 밀도 [1] 597
25 조선업에서 철재절단용으로 사용하는 가스 프라즈마에 대한 질문 [1] 576
24 핵융합 질문 [1] 574
23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52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