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중저전압 플라즈마방전을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데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금형개발한 전극에 DC24를 인가하여 상수도수안에서 적당량의 미세기포를 발생시켰으며, 리스테리아균, 대장균등을 99.9% 이상의

살균결과를 얻었읍니다. 그런데, 해수의 비브리오균에 대한 살균여부를 문의한 바이어 요청으로, 

염도 1%의 물에 금형개발한 전극을 담그고, DC24V를 인가하였더니 미세기포가 상수도수에 비해 적게 발생하는 것입니다.

염도 1%(최대 2%)의 물에서, 금형수정없이, DC24V로  미세기포를 좀 더 생성시킬 방안이 없을까요??

(상수도수에서 전극에 걸리는 전류치는 4A수준임.) 

참고로, 1) 전기전도도가 높은 유체에서 미세기포가 덜 활성화되는 정확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2) 상수도수에서 전류치가 4A가 걸리면, 염수에서는 어느정도가 될까요? 

*바쁘시더라도 꼭~~ 답변부탁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059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37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289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34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35
82 가입인사드립니다. [1] 1880
81 유도결합 플라즈마 소스 질문!!!? [2] 1910
80 RF generator 관련 문의드립니다 [3] 1951
79 Remote Plasma 가 가능한 이온 [1] 1983
78 안녕하세요 ICP dry etching 관련 질문사항드립니다! [1] 1987
77 RPG Clean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2] 2042
76 ECR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2274
75 CCP plasma에서 gap과 Pressure간의 상관관계 [1] 2317
74 교수님 안녕하세요, icp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 2352
73 RF 주파수와 공정 Chamber 크기의 상관관계 [1] 2373
72 Ar과 O2 plasma source에 따른 ignition condition에 대하여 질문 있습니다. [1] 2385
71 RPS를 이용한 SIO2 에칭 [1] 2410
70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2] 2501
69 수소 플라즈마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2672
68 플라즈마 밀도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2699
67 고온의 플라즈마와 저온의 플라즈마의 차이 [1] 2948
66 PP & PET 친수성과 접착성 유지 질문입니다. [1] 3339
65 RF plasma 증착 시 arcing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3451
64 CCP 구조가 ICP 구조보다 Arcing 발생에 더 취약한가요? [3] 3580
63 CCP/ICP 의 플라즈마 밀도/균일도 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381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