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교수님 항상 성심성의것 답변해 주신것 감사합니다.

 

저는 CCP plasma를 다루는 반도체 장비 회사를 다니고 있는 엔지니어 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여러가지 조건으로 Split test를 하는 와중에 샤워헤드와 척 사이의 갭을 늘렸더니 

 

플라즈마가 켜졌을 때 Matcher의 Vrms가 초반 몇 초 동안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운이 없었다면 아킹이 발생하고 웨이퍼가 깨졌을 수도 있었던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pressure를 낮췄을 때는 Gap을 늘려도 상대적으로 안정해지는 경향이 파악 되었습니다.

 

왜 Gap이 커지면 불안정해지고, 여기서 Pressure를 낮추면 Gap이 커져도 상대적으로 안정해 지는 걸까요??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0] 77156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3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4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84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08
142 해수에서 플라즈마 방전 극대화 방안 [1] file 518
141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1] 520
140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522
139 핵융합 질문 [1] 575
138 조선업에서 철재절단용으로 사용하는 가스 프라즈마에 대한 질문 [1] 576
137 연속 Plasma시 예상되는 문제와 횟수를 제한할 경우의 판단 기준 [1] file 600
136 CCP RIE 플라즈마 밀도 [1] 601
135 진공수준에 따른 RF plasma 영향 관련 질문 [1] file 625
134 챔버 시즈닝에 대한 플라즈마의 영향성 [1] 632
133 N2 GAS를 이용한 Plasma에 대한 질문 [1] 651
132 Remote plasma source의 주파수 400kHz 이유 [1] 679
131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725
130 반도체 METAL ETCH 시 CH4 GAS의 역할. [1] 747
129 주파수 증가시 플라즈마 밀도 증가 [1] 753
128 코로나 전류에 따른 발생되는 이온의 수와, 하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763
127 RPS를 이용한 유기물 식각장비 문의 [1] 764
126 새집 증후군 없애는 플러스미 - 플라즈마에 대해서 [1] 796
125 Si Wafer에 Plasma를 처리했을때 정전기 발생 [1] 814
124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817
123 라디컬의 재결합 방지 [1] 81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