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 Plasma 대기압 플라즈마에 대해서

2004.06.19 16:40

관리자 조회 수:9645 추천:286

질문 :

대기압에서 DBD방식 EICP방식으로 플라즈마를 일으킨다고 하던데  이 원리에 대해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답변 :

황인욱님께

대답이 많이 늦어졌군요. 대답전에 EICP라고 하셨느데, 무엇의 약자인가요 ? 혹시 Enhanced ICP이면 그냥 ICP관련 서적을 읽으시면 되겠내요. 그리고 이전의 질문내용은 아마도 대답해야할 내용이 너무 많아서, 관라자가 이전 자료를 복구할 때까지 기다리셔야 할 것 같읍니다.

그럼 DBD에 관해서 간략하게 설명드리지요. DBD는 두개의 평판전극 사이에 절연체를 삽입하여 아크 방전을 억제하는 방식입니다. 절연체로는 유리, 세라믹판 등을 쓰고있으며, 절연체의 두께는 2mm 이하가 좋읍니다. 두개의 전극 사이는 절연체 포함 해서 5mm이내 이고 인가 전압은 60Hz ~ 50 kHz의 주파수로 약 10~ 35kV정도 입니다. 작동 압력은 대기압 수준입니다. 방전은 약 100 micormeter의 plasma 기둥을 이루면서 발생되는데, 이와같은 Plasma기둥을 Streamer라 하고, 때때로 Microdischarge라고도 합니다.  Streamer는 동시에 전극판 사이에 수 백개가 동시에 발생 합니다. 한 개 streamer의 duration은 약 10-100 ns이고 전자 밀도는 약 10^15 cm^-3, 전자온도는 2eV 이하 입니다.

DBD는 처음에 오존 발생장치로 개발되었고, 오늘날에도 많이 쓰입니다.  그 밖에 자외선 발생장치, 유해가스 제거, 자외선 발생장치, Excimer LASER 등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근래에는 PDP(Plasma Panel Display)에도 DBD가 이용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11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0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19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6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79
24 DBD 방전 방식의 저온 플라즈마 관련해서 3가지 질문 드립니다. [1] 44
23 대기압 플라즈마 문의드립니다 [1] 262
22 DBD Plasma Actuator 원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818
21 Tungsten 표면 Contamination 제거(실명재등록) [1] 984
20 DBDs 액츄에이터에 관한 질문입니다. [3] 1338
19 dbd-플라즈마 질문있어욤!!!!! [1] file 1410
18 플라즈마 밀도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2701
17 상압 플라즈마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1] 8153
16 N2 환경에서의 코로나 방전을 통한 이온생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1] file 8626
» 대기압 플라즈마에 대해서 9645
14 유전체 플라즈마 17570
13 DBD plasma 18098
12 기중방전에서 궁금한것이 19164
11 대기압 상태의 플라즈마 측정 19734
10 상압플라즈마에서 온도와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19772
9 DBD플라즈마와 플라즈마 impedance 20219
8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1] 20314
7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20632
6 상압 플라즈마 관련 문의입니다. [1] 21520
5 대기압플라즈마를 이용한 세정장치 2154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