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CVD 공정 관련해서 업무를 하고 있는데,

증착 후 챔버 안에 남아있는 막질을 제거하는 Clean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을 쓰게 되었습니다.

 

 

먼저 Clean 시에는

NF3와 Ar을 RPG (Remote Plasma Generator)를 통해 radical과 이온으로 만들어져 챔버로 들어옵니다.

챔버에는 bias가 걸리지 않고 그냥 가스들만 들어옵니다.

 

이때 막질인 SiO2는 F와 반응하여 SiF4로 기상 생성물을 만들어 화학적 에칭으로 제거가 됩니다.

그런데 막질과 달리, 막질 밑에 있는 세라믹인 AlN은 고형 생성물이 생성입니다. 하지만 이 생성물이 계속해서 식각이 되는 것을 파악했는데, 화학적으로는 상변화나 식각이 500-550도 온도에서 불가능해 보여서 혹시 Ar이나 NF*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스퍼터링 처럼 식각이 되는 지 궁금합니다.

챔버 압력이 2Torr-6Torr로 높아서 아닌 것 같긴한데, 그거 말고는 떠오르는 게 없습니다.

 

그리고 물리적 식각이라면 400와 550도 그리고 2Torr 와 8Torr에서 식각률 차이가 매우 클까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1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50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59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91
21 RF 플라즈마와 Microwave 플라즈마의 차이 95953
20 PECVD 매칭시 Reflect Power 증가 [2] 25002
19 ICP dry etch 장비에서 skin depth가 클수록 좋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1] 24446
18 surface wave plasma 에 대해서 [1] 18565
17 In-flight plasma process 15516
16 remote plasma 데미지 질문 [1] 14508
15 Remote Plasma에서 Baffle 재질에 따른 Plasma 특성 차이 [1] 10413
14 RPSC 관련 질문입니다. [2] 4105
13 RPS를 이용한 SIO2 에칭 [1] 2438
12 RPG Clean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2] 2080
11 Remote Plasma 가 가능한 이온 [1] 2007
10 Plasma Ignition 시 Gas 사용에 대한 궁금증 요청드립니다. [1] 1281
9 PECVD Cleaning에서 Ar Gas의 역활 [1] 1256
8 RPSC 시 Pressure와 Throttle Valve Position의 관계 [1] file 1229
7 리모트 플라스마 소스 AK 부품 수출 관련 질문 입니다 반도체 장비 부풉ㅁ 1060
6 Remote plasma source의 주파수 400kHz 이유 [1] 799
5 RPS를 이용한 유기물 식각장비 문의 [1] 771
4 안녕하세요 CLEAN GAS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472
3 Si 와 SiO의 선택적 식각 관련 문의입니다. 141
2 Showerhead와 Heater간 간격에 따른 RPC 효율성 [1] 13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