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반도체 시장 조사 업무를 하고있는 직장인 석현준이라고 합니다.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고의 플라즈마 랩실에 자유롭게 질문을 올릴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도 정말 큰 도움이 되고,

크게 보면 산학연 협력의 선순환이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플라즈마 장비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 잘 모르는게 있어서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

플라즈마 장비의 전원 공급장치는 RF Generator를 쓰거나, DC Power supply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의 짧은 지식으로 분류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니라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 RF : ICP, CCP, CVD, ALD...(유전체 식각, 증착)

- DC : PVD(메탈증착), 스크러버(그냥 파워만 인가하면 되는 용도)

 

여기서, 그러면 Pulsed DC Supply는 어디에 사용하는 것인지, RF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가 궁금합니다.

장비사 입장에서 전원공급장치를 달 때, Pulsed DC를 다는 경우와 RF를 다는 경우가 나뉠텐데 

그 기준이 어떤지도 잘 몰라서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PS. 자주 눈팅하면서 여러 정보들을 얻고 있습니다.

     더불어 플라즈마 지식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2] 7721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65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6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0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46
26 석영이 사용되는 이유? [1] 20057
25 플라즈마 matching 20286
24 CCP형, 진공챔버 내에서의 플라즈마... [1] file 20404
23 전자파 누설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1] file 21125
22 ICP 플라즈마 매칭 문의 [2] 21215
21 Dry Etcher 내 reflect 현상 [2] 22272
20 MATCHING NETWORK 에서 BACKWARD BIAS 가 생성되는 이유가 무엇 입니까? [3] 22586
19 Peak RF Voltage의 의미 22637
18 안녕하세요. O2 Plasma 관련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22957
17 HVDC Current '0'으로 떨어지고, RF Bias Reflect (RF matching이 깨지는 현상) 발생 23350
16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file 24653
15 RF 플라즈마 챔버 내부에서 모션 구동 [1] 24787
14 ICP Source에서 RF Source Power에 따른 위상차와 임피던스 변화 문의 [1] 24790
13 Reflrectance power가 너무 큽니다. [1] 24914
12 스퍼터 DC 파워의 High 임피던스가 무슨 의미인가요? 25596
11 dechucking시 Discharge 불량으로 Glass 깨짐 [3] 26245
10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 26511
9 플라즈마 챔버 의 임피던스 관련 [2] 27237
8 플라즈마 상태와 RF MATCHING관계 문의 사항 27669
7 esc란? 2811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