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에서 현재 반도체 공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현재 RIE를 통해 oxide가 깔린 웨이퍼를 dry etching 하는 실험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실험을 통해 oxide를 rf power 75W, 시간은 1분으로 고정시킨후 CF4가스를 10sccm에서 50sccm으로 증가시키면서 etch rate를 측정한 결과 etch rate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제 생각에는 plasma에 있는 이온이 웨이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gas의 밀도가 높아져 scattering이 증가해 physical etch가 감소하고 그로 인해 oxide의 bonding이 덜 깨져 radical에 의한 chemical etching도 감소한 것으로 예상되는데 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0] 77164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45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4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8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20
124 Vacuum Chamber(Etching) 내에서 열의 이동과 Byproduct 이동과의 관계. [2] 1144
123 [RIE] reactive, non-reactive ion의 역할 [1] 2546
122 O2 Asher o-ring 문의드립니다. [1] 906
121 Dry etch 할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1] 2322
120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1400
119 Dechucking과 He gas의 관계 질문입니다. [1] 1104
118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1260
117 질문있습니다 교수님 [1] 22213
116 CVD품질과 RF Delivery power 관계 질문 [1] 1770
115 안녕하세요. O2 plasma etching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 6786
114 ICP-RIE process 및 plasma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2] 3693
» Gas flow rate에 따른 etch rate의 변화가 궁금합니다. [1] 3045
112 전자기장 및 유체 시뮬레이션 관련 [1] 551
111 압력, 유량과 residence tim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2014
110 PECVD Precursor 별 Arcing 원인 [1] 3373
109 ICP, CCP 그리고 Ion Implantation 공정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1207
108 HF/F2와 silica 글래스 에칭율 자료가 있을까요? 2897
107 PEALD관련 질문 [1] 32655
106 Plasma Etching 교재 추천 부탁드립니다.. [3] 1090
105 기판 위에서 Radical의 운동역학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2] 73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