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uttering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2004.06.21 15:44

관리자 조회 수:18052 추천:221

질문 ::

제가 알고 있는 범위로는 해결 방법이 없어서 문의 드립니다.
Sputter 공정에서 발생되는 Splash의 감소 및 발생 억제 방안에
대해 알고 계시면 답변 부탁 드립니다.
공정에 사용되는 금속에 따라 전류와 전압 및 H/W Parameter를
(Target과 Magnet 거리) 변경하면서 그 현상을 확인 하고는 있는데
Control이 잘 안되네요.
Splash는 두종류로 나뉘는데...
첫번째는 Wing Type( Chamber 오염)
두번째는 Dome Type(Target 문제...)
현재 골치를 앓고 있는 문제는 '두번째' 인데, 어떻게 풀어야 할지
모르겠네요.
특히 Al 금속에서 그 현상이 심한데, 어떤 방법이 없을까요?
(장비사양은 DC Power/Magnet를 이용한 Film Deposition 방법)

답변 ::

Power를 낮추면 효과가 있죠...
당근한 말이쥐만...
특히 메탈은 어디나 발생되고 문제가 되죠...
윙타입 보다 돔 타입이라면 원인은 간단하네요...
B/P와 TG 사이에서 발생되든가..아님 TG 불순물과 Pore에 기인하든지
여튼 둘다 TG Maker를 조져야 됩니다.
그렇다고 완전히 없어지진 않죠....기본적으로 Al 공정에서 발생되는것은 어찌할 수 없습니다. 모든 Arc 기인의 Spalsh는 Charging을 줄이는
수 밖에...그건  Power를 낮추는게 가장 효과적이죠...
글구  process gas도 영향을 주니까 잘 Control 해보시고요...
TM은 크게 효과 있나요? 별 효과 없던데...
혹 좋은 방법 있으면 저도 좀 갈케죠요...도움 안되는 소리만 해서
미안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3] 77214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6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6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0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46
24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430
23 center to edge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2 430
22 PEALD 장비에 관해서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1] 424
21 애칭 후 부산물의 양을 알고 싶습니다. [1] 418
20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407
19 RIE 식각공정중 발생하는 가스를 예측할 수 있는 메카니즘에 대해 질문하고싶습니다. [1] 381
18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1] 379
17 RIE Gas 질문 하나 드려도될까요? [1] 344
16 RIE 설비 관련 질문 좀 드려도 될까요? [1] 312
15 메틸기의 플라즈마 에칭 반응 메커니즘 [1] 302
14 Etch Plasma 관련 문의 건.. [1] 291
13 gas에 따른 deposition rate 및 저항질문 있습니다 [1] 281
12 GWP(Global warming potential)에 따른 Etch gas 변화에 대한 질문 [1] 264
11 Cu migration 방지를 위한 스터디 [1] 251
10 Compressive한 Wafer에 대한 질문 [1] 248
9 플라즈마 식각 시 notching 현상 관련 [1] 232
8 AP plasma 공정 관련 문의 [1] 218
7 FTIR분석을 이용한 SiO2성막 해석 205
6 화장품 원료의 플라즈마 처리 문의 [1] file 197
5 sputtering 을 이용한 film depostion [1] 170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