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tch 공정 기술 직무를 희망하는 취준생입니다.

다음은 center to edge uniformity 문제의 극복방안을 공부한 내용입니다.

CCP와 ICP의 플라즈마 모양이 다르므로 edge의 etch rate가 낮거나 높게된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중성 가스 분포 조절과 생성 플라즈마 밀도 조절 전략으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1. 적절한 nozzle 선택을 통해 가스의 유속 방향을 조절하거나, Edge ring을 사용하여 가장자리의 가스유속에 따른 식각 속도 증가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적절한 전기전도도 부여

2. ICP의 안테나 구조를 변경하여 플라즈마의 밀도를 높이거나, standing wave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정 조건을 조절

+ ESC의 영역별 온도 조절 

 

위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극복방안이 대부분 장비의 parts를 추가하거나 선택하는 데에서 끝나므로, 공정 기술 엔지니어가 조절 가능한 인자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이 생겼습니다. (공정 조건에 따른 ESC척의 온도 조절일까요?)

 

추가로 질문드리면, ARDE 현상, 보잉과 같은 공정 문제가 Edge에서 더 많이 일어난다고 이해해도 될까요? 즉, etch profile에 따른 ARDE, 보잉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Edge의 수율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을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100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0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1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54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68
» center to edge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1] 827
48 RIE 공정시에 형성되는 두 효과를 분리해 보고 싶습니다. [1] 856
47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1004
46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1] 1073
45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하면 안되는 이유 [1] 1076
44 etch defect 관련 질문드립니다 [1] 1107
43 Vacuum Chamber(Etching) 내에서 열의 이동과 Byproduct 이동과의 관계. [2] 1142
42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1146
41 O2 etch 후 polymer 변성에 관한 문의 file 1180
40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1198
39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1259
38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1397
37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1411
36 poly식각을 위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file 1430
35 터보펌프 에러관련 [1] 1773
34 wafer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Er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 [1] 1825
33 압력, 유량과 residence tim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2007
32 식각 시 나타나는 micro-trench 문제 [1] 2036
31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1] 2079
30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212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