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화학공학과 재학중인 학부생입니다. si-(ch3)2기의 에칭을 한다고 할 때 제가 생각하는 메커니즘으로 에칭이 될 지 여쭤보고자 글 남깁니다.

plasma gas로는 cf4/o2를 사용한다고 할 때

SI(CH3)2 + 4F > SIF4(gas) + C2H6(gas)의 반응으로 에칭이 가능할까요?

또한 cf4에 o2, ar, chf3등을 추가적으로 사용해도 에칭이 문제없이 진행될 지, 이 경우에도 위와같은 반응으로 에칭이 될지 궁금합니다.

chf3도 에칭에 사용이되고, o2는 f라디칼의 생성을 증가시키며, ar의 경우 아르곤플라즈마의 생성으로 빠른 에칭을 야기시킨다고 알고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5] 10395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75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66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8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6124
» 메틸기의 플라즈마 에칭반응 메커니즘 [공정 플라즈마] [1] 735
55 RIE 식각공정중 발생하는 가스를 예측할 수 있는 메커니즘에 대해 질문하고 싶습니다. [플라즈마-화학-표면 반응 모델] [1] 637
54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RF 접지 및 체결, 결합부분 교체] [1] 1194
53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 하면 안되는 이유 [표면 전처리] [1] 1826
52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Plasma Cleaning] [1] 621
51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HAR, LF bias] [1] 1459
50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TVP(Thorottle Valve Position)] [1] file 961
49 Polymer Temp Etch [이온 입사 에너지] [1] 1094
48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783
47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Self bias와 RIE] [1] 882
46 etch defect 관련 질문드립니다 [Plasma distribution] [1] 1638
45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Self bias] [1] 1451
44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MD 시뮬레이션 연구] [1] 2789
43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Polymer coating 식각] [1] 3189
42 Plasma 식각 test 관련 문의 [플라즈마 데이터 처리] [1] 4392
41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표면 화학 반응] [1] 2058
40 Etching 공정 중 wafer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Ring관련 [Sheath 전위 형성] [3] 3888
39 O2 etch 후 polymer 변성에 관한 문의 file 1343
38 Vacuum chamber(Etching)내에서 열의 이동과 Byproduct 이동과의 관계 [Plasma bulk Temp와 wall Temp] [2] 1455
37 [RIE] reactice, non-reactice ion의 역할 [Dissociation과 Ar plasma] [1] 321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