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교수님. 현업 종사자로 Plasma Arcing 이슈로 문의코자 합니다.

 

현재 사용하는 Precursor는 TEOS로 Ar Carrier Gas를 사용합니다.

Low k CVD에서는 OMCTS로 Precursor를 변경하고 He Carrier Gas를 사용합니다.

이 때, OMCTS를 사용하는 Low k에서 Arcing이 발생하여 원인을 찾고자 합니다.

 

추측하는 원인으로는 교수님께서 Arcing Mechanism으로 언급하셨던 주위 부품들에서 축전된 전하로 발생할 가능성을 기반으로,

부품의 유전율은 동일하니, Sheath의 두께가 달라 Capacity가 다를 수 있어 Arcing에 취약하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관련 문헌들을 조사하였을 때, He Gas가 Ar에 비해  Sheath 두께가 얇고, Ion Density가 높음을 보입니다. 또한, 일부 문헌에서는 Precursor의 Corss section이 달라져 Sheath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정리하자면, TEOS, Ar -> OMCTS,He으로 변경 시, Arcing이 발생하는 것은 Sheath의 두께에 따른 Capacity 차이에 의함이 아닌가 싶습니다.

 

검토해주셔서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7] 98104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384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052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239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3038
37 HF PLASMA DEPOSITION 시 POWER에 따른 DEP RATE 변화 [장비 플라즈마, Rate constant] [1] 404
36 FTIR분석을 이용한 SiO2성막 해석 422
35 PECVD Uniformity [플라즈마 균일도 제어] [1] 1113
34 Compressive한 Wafer에 대한 질문 [박막] [1] 418
33 PEALD장비에 관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장비 세정 및 관리 규칙] [1] 772
32 O2 플라즈마 사용에 대한 질문을 드립니다. 904
31 PECVD 증착시 온도, 기판의 종류의 영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PECVD와 PACVD] [1] 2532
30 SiO2 박말 밀도와 반응성 간 상관 관계 질문 [세정 시간 및 식각 효율] [1] 4480
29 엘립소미터 측정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나노광전자 데이터 분석] [1] 1521
28 질문있습니다 교수님 [Deposition] [1] 22671
27 CVD품질과 RF Delibery power 관계 질문 [RF power와 plasma information] [1] 2218
» PECVD Precursor 별 Arcing 원인 [하전에 의한 전기장 형성 및 방전 시간] [1] 4095
25 PEALD관련 질문 [Passivation 막 증착 과정] [1] 32979
24 기판 위에서 Radical의 운동역학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2] 960
23 PECVD 증착에서 etching 관계 [PECVD 증착] [1] 2048
22 [CVD] 막 증착 관련 질문입니다. [수소의 확산과 쉬스에 의한 가속] [4] 1557
21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대면 재료의 전기적 특성와 플라즈마 쉬스의 변화] [3] 698
20 Pecvd장비 공정 질문 [Dusty plasma와 벽면 particle 제어] [1] 2019
19 Depo시 RF 초기 Reflect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Matcher의 알고리즘] [1] 1720
18 플라즈마 깜빡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Ionization collision 및 Effective ionization energy] [1] 2800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