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C SI Wafer Broken [Chucking 구동 원리]

2018.08.01 11:16

장영구 조회 수:3116

안녕하세요. 반도체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Plasma와 연관성이 없을 수 있는 질문인데요..

Si Wafer가 ESC Chucking  Voltage의 Damage(??)에 의해 Edge Broken이 발생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2500v)

ESC를 사용하다가 1년 이상되면 Broken이 발생하고, Broken 주기는 점점 빨라집니다.

ESC의 오랜 사용에 의한 노화 현상은 맞는거 같은데 어떤 영향성으로 발생하는지 궁금해서요...(ESC 교체시 정상되네요)

Plasma On/Off와는 연관성이 없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0] 101905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47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13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16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331
413 코로나 방전의 속도에 관하여 [코로나 방전의 이해] [1] 3693
412 RF Vp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Self bias와 플라즈마 쉬스] [1] 6210
411 DRAM과 NAND 에칭 공정의 차이 ["플라즈마 식각 기술"] [1] 5908
410 (PAP)plasma absorption prove 관련 질문 [PAP 진단법] [1] 690
» SI Wafer Broken [Chucking 구동 원리] [2] 3116
408 Depo시 RF 초기 Reflect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Matcher의 알고리즘] [1] 1753
407 I-V characteristic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전자전류의 해석] [1] 1652
406 플라즈마 기초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광운대 플라즈마 바이오 연구소] [1] 1174
405 플라즈마 깜빡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Ionization collision 및 Effective ionization energy] [1] 2860
404 OES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플라즈마 빛의 파장 정보] [1] 28018
403 Collisional mean free path 문의… [MFP와 평균값 개념] [1] 1322
402 Etch 공정(PE mode) Vpp 변동 관련. [Self bias 형성 과정과 전자의 에너지] [1] 2712
401 플라즈마 색 관찰 [플라즈마 빛과 OES신호] [1] 4934
400 플라즈마 장비를 사용한 실험이 가능할까요 ? [반도체 공동 연구소] [1] 14375
399 langmuir probe관련하여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Langmuir probe와 ground] [1] file 1336
398 DC Plasma 전자 방출 메커니즘 1182
397 플라즈마에 관해 질문 있습니다!! 24203
396 MATCHER 발열 문제 [Mathcer와 plasma impedance] [3] 1751
395 플라즈마 기초입니다 [Breakdown과 electrolysis] [1] 1499
394 O2 플라즈마 클리닝 관련 질문 [Physical sputtering과 cleaning] [1] 180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