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 관련 대학원에 진학 예정중인 학부생입니다.

먼저, 저의 무지함에 용서를 바라며 기초적인 질문을 드릴려고 합니다.


첫 질문은 제가 공부중인 책에선, CCP나 Icp에서 플라즈마가 형성되었을 때, 전자밀도와 위치 그래프를 보면 전자밀도는 bulk 영역내에선 동일하였습니다.

허나, icp의 경우, comsol로 간단한 icp를 이용헌 argon 방전 예제를 돌려보았는데 챔버의 중심부에서 전자밀도가 가장 높았습니다.

쉬스에 의해서 밀도가 감소하는 영역이 동일하니까 전자밀도의 분포가 대칭을 이룬다는 것은 어느정도 이해가 가지만, 시뮬레이션과 다르게 책에선 bulk내의 전자밀도가 왜 동일한지가 궁금합니다.(ac source의 주파수와 시간의 곱이 0일 때)

아니면 이러한 bulk 내에서의 전자밀도의 분포가 온도, 압력, 전원소스의 크기, 주파수 등 여러 인자에 인해서 바뀌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두번째 질문은 플라즈마 형성시 챔버의 geometry가 왜 중요한지 궁금합니다. 

저는 여러 물리 인자들, 예를 들면 온도, 압력, 주파수 등 이런 것들에 의해서 방전이 좌우되고 플라즈마 특성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했는데 챔버의 구조도 중요하다고 읽었습니다.

가스 주입구나 배출구, 전원소스의 위치의 중요성은 아직은 설명은 못하겠지만 직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챔버가 원기둥인지, 육면체인지, 혹은 챔버의 반경과 높이 등 이런 요소들이 왜 플라즈마 형성에 치명적으로 영향을 끼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높이나 반경 이런 요소들이 극심하게 차이가 난다면 전기장에 영향을 끼쳐 방전이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이 들지만...

제가 챔버의 geometry에 너무 둔감하다고 생각합니다. 챔버의 geometry 중요성에 관해 조언을 구할 수 있을까요?


마지막 질문은 플라즈마 전위입니다. 저는 플라즈마에서 bulk 영역의 전위가 일정하게 생기는 이유를 회로관점으로 이해하였습니다.

플라즈마의 저항 성분 때문에 bulk 영역에 포텐셜이 생기고, bulk 내에선 전자와 이온의 수가 거의 같아 전기장이 거의 0에 가까워서 전압차가 나지않는다고 생각하였는데, 좀 더 고민해보니 부족한 점이 많은 설명이라고 생각합니다.

구체적으로, 저항 소자의 양쪽 node에 같은 전압을 걸어준 case가 bulk영역의 포텐셜과 같은 경우라고 생각하는데, 근본적으로 플라즈마의 저항 성분이 왜 생기고, 이 전위가 왜 걸리며 전위의 크기는 어떻게 결정되는지 궁금합니다.



스스로 좀 더 고민을 하고 책을 찾아보며 답을 찾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겠지만, 지금 이 수준이 저의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부끄럽지만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0] 7713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2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3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7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96
542 Dry etch 할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1] 2317
541 플라즈마 입자 운동 원리(전자기장에서) [1] 1883
540 CCP/ICP 의 플라즈마 밀도/균일도 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3827
539 플라즈마 살균 방식 [2] 11500
538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1399
537 RF/LF에 따른 CVD 막질 UNIFORMITY [1] 2470
536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440
535 Dechucking과 He gas의 관계 질문입니다. [1] 1104
534 Matcher의 Load/Tune Position 거동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2] 3296
533 O2 plasma, H2 plasma 처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6460
532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1260
531 RPS를 이용한 SIO2 에칭 [1] 2411
530 쉬스(sheath)에서 전자와 이온의 감소 관련하여 질문 [1] 1944
529 질문있습니다 교수님 [1] 22207
528 CVD품질과 RF Delivery power 관계 질문 [1] 1767
527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453
526 remote plasma 데미지 질문 [1] 14497
525 RF generator 관련 문의드립니다 [3] 1959
524 Wafer Warpage에 따른 CCP Type Chamber 내부 Impedance [1] 1348
523 안녕하세요. O2 plasma etching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 6766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