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최근 챔버내 Arcing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있어서 이 홈페이지에서 Arcing관련 댓글 및 게시글은 전부 읽어보고 이해하려 노력해보았습니다.

그런데도 제가 하려고하는 방향이 옳은지 확신이 들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먼저 source로는 상부의 MW와 하부 ESC쪽 RF를 사용하며 중진공상태에서 공정합니다.

저는 Arcing이 발생되는 원인 중 하나인 전하 축적이 예상되는 파트를 줄이려고 생각했습니다.

챔버내 부품 중 Ground가 되지않은 파트들이 전하축적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해서 이 파트들을 Ground처리를 하거나 파트의 재질을 세라믹 등 절연체로 변경하는 등의 방안을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Ground가 되어있지 않은 몇몇 부품들의 재질을 알아보니 Al재질이고 50um~80um정도로 Hard Anodizing이 된 부품들이었습니다.

구글링해보니 경질 아노다이징이 되어있는 Al의 절연파괴 전압은 1000V이상으로 이미 거의 절연체에 가까워서 이 몇몇 파트를 Ground처리를 한다고하여 Arcing이 개선될지 의문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실제 Arcing이 발생된 파트는 Ground와 무관하게도 챔버내 전혀 다른 part 였기도 해서 제가 생각한 방안이 효과가 어느정도로 잇을지.... 교수님의 사견이 궁금해서 질의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3] 7722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6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6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03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51
506 MFP에 대해서.. [1] 7838
505 플라즈마 쪽에 관심이 많은 고등학생입니다. [1] 7714
504 정전척 isolation 문의 입니다. [1] 7682
503 CCP에서 DIelectric(유전체)의 역활 [1] 7679
502 RF Generator와 Impedance 관련 질문있습니다 [2] 7345
501 ETCH 관련 RF MATCHING 중 REF 현상에 대한 질문입니다. [1] 7136
500 안녕하세요. O2 plasma etching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 6833
499 저온 플라즈마에 관해서 [1] 6720
498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2] 6573
497 플라스마 상태에서도 보일-샤를 법칙이 적용 되나요? [1] 6543
496 플라즈마 건식식각 장비 부품 정전척 공정 진행 후 외각 He-hole 부위 burning 현상 매카니즘 문의.. [1] 6516
495 플라즈마 데미지에 관하여.. [1] 6504
494 저온플라즈마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ㅠ [1] 6479
493 O2 plasma, H2 plasma 처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6470
492 O2 플라즈마 표면처리 관련 질문2154 [1] 6468
491 플라즈마 기술관련 문의 드립니다 [1] 6422
490 액체 안에서의 Dielectric Barrier Discharge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6413
489 공동형 플라즈마에서 구리 전극의 식각 문제 [2] 6376
488 O2, N2, Ar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2] 6334
487 RPS를 이용한 NF3와 CF4 Etch Rate 차이 [4] 632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