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디스플레이 건식식각 장비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IC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Source Vpp, Bias Vpp라는 parameter가 있는데 제가 알기로는 RF 파형의 전압 값으로 RF power와 비례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식각 시 Source와 Bias power는 일정하게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Vpp가 변동됩니다. Process가 진행되면서 Source Vpp는 증가하는 경향, Bias Vpp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Bias Vpp는 -Vdc(표면전위)로 점차 떨어져 안정화된다고 하셨는데, Source Vpp는 왜 증가한 후 안정화되는 건가요?

 

박막이 식각됨에 따라 플라즈마의 임피던스가 변해서 Vpp가 변동이 생기는 건가요? 그렇다면 왜 Source Vpp와 Bias Vpp가 상반되는 거동을 보이는 것인지요? 고민해봐도 잘 모르겠어서 부득이하게 질문 드립니다.

 

참고로 저희 장비의 Vdc sensor는 capacitor의 원리를 사용해 측정하기 때문에 전위변동 -> 안정화 후에는 0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095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0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1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5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64
361 압력, 유량과 residence tim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2007
360 ICP power와 ion energy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2] 2004
359 플라즈마 실험을 하고 싶은 한 고등학생입니다.... [1] 1996
358 안녕하세요 ICP dry etching 관련 질문사항드립니다! [1] 1987
357 Remote Plasma 가 가능한 이온 [1] 1983
356 잔류가스분석기(RGA)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1979
355 플라즈마 띄울때..ㅠㅠ!!? [1] 1969
354 13.56MHz resonator 해석 관련 문의 [1] 1962
353 RF generator 관련 문의드립니다 [3] 1955
352 쉬스(sheath)에서 전자와 이온의 감소 관련하여 질문 [1] 1940
351 PECVD 증착시 온도, 기판의 종류의 영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1930
350 RF PLASMA를 사용한 J.R ESC DECHUCK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1] 1926
349 3 stub 정합에 대해 궁금합니다. [1] 1923
348 유도결합 플라즈마 소스 질문!!!? [2] 1911
347 매칭시 Shunt와 Series 값 [1] 1910
346 RF FREUENCY 와 D/R 과의 상관 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1] 1903
345 CVD CCP/ICP 사용간 Wafet Bias volt 줄어듬 현상 문의드려요 [1] 1882
344 가입인사드립니다. [1] 1880
343 플라즈마 입자 운동 원리(전자기장에서) [1] 1874
342 공정 진행 중간에 60Mhz만 Ref가 튀는 현상 관련하여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187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