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플라즈마 관련 실험을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ICP 시스템에서 전자밀도 크기에 대해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Ar, N2, O2 가스환경에서 ICP 시스템을 통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electron density (plasma density)를 측정하였습니다.

동일한 실험조건을 기준으로 (RF power 조건 포함), 

electron density는 Ar > O2 > N2 순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여기서 저는 왜 electron density가 상기와 같은 순서로 발생되는 것인지 궁금하였습니다.

 

첫번째로, Ar 은 10^12 cm-3 정도이나, O2, N2는 10^11 cm-3 정도로 측정되었습니다.

제가 사용한 공정가스는 원자형태의 가스(Ar)와 분자형태의 가스(O2, N2) 입니다.

분자형태의 가스에서는 가속된 전자가 분자사이의 결합을 끊는 dissociation 반응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energy loss가 발생하여 

실제 플라즈마 반응에 들어가는 에너지는 원자형태의 가스에서보다 작아져 electron density가 낮아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지요?

 

두번째로, O2 에서 electron density는 N2 보다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이는 bonding energy 가 N2(941 kJ/mol)가 O2(495 kJ/mol) 보다 높고, 이온화에너지 또한 N2가 O2 보다 높아

동일한 조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더라도 n2 에서 energy loss 가 많이 발생하여 electron density 가 낮아지게 되는 것인지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0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9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4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88
270 RPSC 시 Pressure와 Throttle Valve Position의 관계 [1] file 1226
269 ICP, CCP 그리고 Ion Implantation 공정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1215
268 Uniformity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1212
267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1206
266 MFP와 Sheath 관련하여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1194
265 전자 온도 구하기 [1] file 1190
264 산소 플라즈마 처리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1190
263 O2 etch 후 polymer 변성에 관한 문의 file 1189
262 대학원 진학 질문 있습니다. [2] 1188
261 잔류시간 Residence Time에 대해 [1] 1181
260 식각 가스 사용 챔버의 잔류 flourine cleaning 혹은 conditioning 방법 질문 [1] 1180
259 공정플라즈마 [1] 1175
258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1175
» 전자밀도 크기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Ar, O2, N2 가스) [1] 1174
256 wafer bias [1] 1165
255 Group Delay 문의드립니다. [1] 1161
254 플라즈마 주파수 예측관련 질문드립니다 [1] 1158
253 Vacuum Chamber(Etching) 내에서 열의 이동과 Byproduct 이동과의 관계. [2] 1155
252 RF 반사파와 이물과의 관계 [1] 1155
251 엘립소미터 측정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1] 115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