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LG전자 손수왕 선임입니다.

 

플라즈마 소형 모듈장치로 탈취 제균 되는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일본 다이킨 파나소닉 샤프에서 이온 발생기로 탈취 하는 기기들이 나오고 있어서

 

관심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험을 해보면 실제로 잘 안되는 경우가 많네요

 

이론적으로 논문 같은 것을 찾아보면

 

실제로 탈취(가스분해), 제균 (세포막 파괴)에는

 

제품 스펙보다 더 많은 인가 에너지가 들어 가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여기 계신 분들의 전문적인 소견을 좀 듣고 싶네요.  (제 생각에는 실제 탈취 하려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 할 것 같아서요)

 

일반적인 플라즈마에서 수분이 어느 정도 없으면(대기 중1%이하) OH 라디컬이 발생하지 않고

 

산소 질소 라디컬이 발생하는데 (오존 발생, 오존을 산소로 변환하는데 관여),

 

이 라디컬들이 탈취나 제균하는데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얼마나 이 플라즈마 장치에서 가까운 거리에서만 될까를 궁금해 하고 있습니다. 

 

하기에 간단하게 제품이나 실험 방법등을 요약했습니다.

 

--------------------------------------------------------------------------------------------

제품 스펙: 플라즈마 소형 모듈장치( 이온발생기, 이오나이저, 오조나이저 etc...)

             

               input 전압 12V 0.03A  / output 전압 3kv 100hZ DC 펄스  (대기 방전   

               

              양전극과 음전극 이온 발생 (무풍 조건에서 전극과 측정장치 간 거리 5cm에서 3백만개/cc 양음이온 발생

 

탈취 실험: 가스물질 (초산 암모니아)를 액상 형태로 면포에 묻힌 후

              플라즈마 소형장치(이온발생기)로 면포 근접위치에서 가동   

              / 이 실험은 30리터 밀폐박스에서 무풍조건에서 진행      (오존은 2ppm 정도 발생)  

              

             *무풍조건이란--> 밀폐박스내에서 팬장치로 강제 대류및 송풍효과를 쓰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제균 실험: 황포균 대장균을 작은 액적 형태로 살렛에 두고 플라즈마 장치와 송풍으로 이 샬렛쪽으로 원거리에서 보내주는 형태

 

              (오존 없구요, 바람에 의해서 샬렛까지, 수십만개/CC 이온이 도달하기는 하나)

 

              개인적 의견으로는 라디컬 같은 살균 활성물질이 도달하지는 않을 것 같아 바람에 의해 균이 손실 되구

 

              그래서 제균 효율이 나오는 거 같거든요

 

              바람으로 불어 준다고 해서 라디컬 활성체(살균에 도움이 된다는)들이 균에 도달 할 수 없겠죠?

              바람 안에서 라디컬 활성체들이 다 활성을 잃고 다른 분자로 될 것 같거든요 ( 균에 도달하기 전에)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이 대기 중 라디컬 물질들의 검지나, 대기 중 살아 있는 균, 죽어 있는 균을 검지하는 센서 류 등의 연구 개발 산학제의를 해주시면

 

잘 윗분들에게 보고해서 성사되게끔 노력해보겠습니다.

 

질문 해결해주셔도 좋고 전화 주셔도 좋습니다, (010 4283 5334)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0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9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4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88
730 애칭 후 부산물의 양을 알고 싶습니다. [1] 424
729 CURRENT PATH로 인한 아킹 [1] file 424
728 Edge ring의 역할 및 원리 질문 [1] 426
727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433
726 PEALD 장비에 관해서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1] 433
725 center to edge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2 434
724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436
723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443
722 플라즈마 공정 후, 친수성으로 변한 표면의 친수성 제거 [1] 446
721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453
720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457
719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457
718 CCP 설비 Capacitance 및 Impedance 변화에 따른 Vpp 변동성 문의 [2] 460
717 standing wave effect, skin effect 원리 [1] 461
716 안녕하세요 CLEAN GAS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470
715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1] 470
714 Tribo-Plasma 에 관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473
713 ISD OES파형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473
712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476
711 코로나 방전 처리 장비 문의드립니다. [1] 47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