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ICP와 CCP 에쳐장비를 이용해서 산화물 반도체 식각 연구를 진행중인 석사과정 학생입니다.


기존의 ICP 에처를 이용하였을때에는 기존 페이퍼의 경향대로 bias power 증가시 Etch rate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요!


CCP 장비를 이용하고 나서는 오히려 Power 증가할 때 Etch rate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사용한 가스는 CH4 H2 Ar 혼합가스 이고 Power는 150W , 180W에서 실험을 진행했는데 Etch rate는 반토막이 나서 결과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Power 증가시 Ion energy 및 dissociation 증가로 radical flux 또한 증가하게 될터이니, 당연히 Etch rate까지 증가하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요,( power 이외의 gas flow rate , temperature, pressure 등의 조건은 모두 동일합니다.)


다만 한가지 의심이 드는건,  ion bombardment + Radical의 Chemical reaction이 진행하는 경우보다 Ion의 sputtering을 진행하는 메커니즘이 dominent해지기 때문일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이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부탁드리기 위해 글을 남겼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1] 7718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5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5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9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29
524 I-V characteristic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1343
523 CCP 챔버 접지 질문드립니다. [1] file 1349
522 반도체 관련 플라즈마 실험 [1] 1353
521 Wafer Warpage에 따른 CCP Type Chamber 내부 Impedance [1] 1361
520 CVD 막질의 성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1367
519 Langmuir probe의 위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3] 1370
518 low pressure 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댜. [1] 1376
517 Plasma Cleaning 관련 문의 [1] 1382
516 플라즈마 내에서의 현상 [1] 1396
515 수방전 플라즈마 살균 관련...문의드립니다. [1] 1398
514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1400
513 ICP-RIE etch에 관해서 여쭤볼것이 있습니다!! [1] 1404
512 Plasma arcing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1408
511 dbd-플라즈마 질문있어욤!!!!! [1] file 1411
510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1421
509 플라즈마 관련 교육 [1] 1427
508 부가적인 스퍼터링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1430
507 poly식각을 위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file 1433
506 OES 분석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 1435
505 O2 plasma etching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144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