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관련 공부를 하고 있는 취업준비생입니다.

ICP 장비를 공부하다가 궁금한점이 생겨서 질문 올립니다.

1. ICP장비는 소스파워로 이온 밀도를 조절하고, 바이어스 파어로 이온 에너지를 조절한다고 하는데, 소스파워는 이해가 가는데

바이어스 파워로 이온 에너지를 조절한다는 메커니즘이 이해가 안갑니다. 블로킹 커패시터를 달아서 한다고 하는데, 이해가 안가네요..


2. capacitive coupling이라는 현상으로 인해 벽이 스퍼터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이 벽이 스퍼터 된다는게

플라즈마가 균일하지 않게 된다는 말일까요?


3. 이 질문은 PE CVD 관련 질문인데요, PECVD를 진행할 때 전극 면적비를 같게 하는 이유가 라디칼을 이용한 증착 방법이기 때문에

   이온의 영향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렇게 생각했는데, 제 생각의 논리가 맞을지 궁금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06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38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29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3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40
401 Load position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2466
400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2] 2501
399 플라즈마 방전을 위한 RF Power 공급시점에서의 반사파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2] 2524
398 [RIE] reactive, non-reactive ion의 역할 [1] 2536
397 Si Wafer Broken [2] 2556
396 질문있습니다. [1] 2589
395 산소양이온의 금속 전극 충돌 현상 [1] 2592
394 안녕하십니까 파워업체 연구원 입니다. (챔버쪽 임피던스 검출) [1] file 2594
393 수소 플라즈마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2672
392 RIE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2680
391 플라즈마 밀도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2699
390 PR wafer seasoning [1] 2707
389 플라즈마 압력에 대하여 [1] 2737
388 PE 모드와 RIE 모드에서 쉬스 구역에 대한 질문 [1] 2812
387 임피던스 매칭회로 [1] file 2837
386 Edge ring 없이 ESC를 구현 가능한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2] 2849
385 [Etching 공정 중 wafer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Ring관련] [3] 2857
384 HF/F2와 silica 글래스 에칭율 자료가 있을까요? 2896
383 VI sensor를 활용한 진단 방법 [2] 2903
382 HF+LF 사용 중. HF Power 증가 시 Deposition Rate 감소 현상 문의 [1] 292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