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플라즈마 연구실에서 식각 공정을 연구중인 대학원생입니다.

 

CF4 등 flourine 계열의 식각 가스를 사용하는 ICP 챔버를 이용해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 특성상 식각 가스를 비교적 장시간 사용 하고 있는데요, (ex) 실험 1 run당 continous하게 flourine plasma 1 시간 방전) 그러다보니 

실험을 진행함에 따라 안테나 쪽 dielectric, edge ring, chamber wall 등 이 점점 까맣게 바뀌고 있습니다.

 

결정적인 문제는 Ar이나 N2 plasma 방전 실험에서도 시료 표면에서 flourine 성분이 측정되어, 플라즈마 방전 시, 챔버 parts 표면에서 flourine이 나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실험간 O2 plasma를 통해 carbon에 대한 conditioning은 진행하고 있지만 잔류 flourine도 제거하는 방법이 있을 지 여쭙고 싶습니다.

없다면 챔버 parts에 대한 보수를 진행하려고 하는데, liner를 사용하지 않는 챔버라 wall에 대한 보수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워서 conditioning이 간절하네요..

 

H2 plasma를 사용하여 Si wafer의 flourine을 제거하는 논문을 일부 보긴 했습니다만, 챔버 내부 parts에 대해서도 유효한 방법일 지는 모르겠습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0] 77156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3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4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84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09
642 Sheath 길이와 전자의 온도 및 MFP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4865
641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2135
» 식각 가스 사용 챔버의 잔류 flourine cleaning 혹은 conditioning 방법 질문 [1] 1156
639 임피던스 매칭 및 플라즈마 진단 [1] 1291
638 Plasma 식각 test 관련 문의 [1] 3981
637 RF 전압과 압력의 영향? [1] 1703
636 Plasma Cleaning 관련 문의 [1] 1379
635 Uniformity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1196
634 standing wave effect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1674
633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725
632 RF 주파수와 공정 Chamber 크기의 상관관계 [1] 2387
631 IMPEDANCE MATCHING PATH에서 S/H ~ MATCHER 간 전력전송 방법들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1556
630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451
629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1415
628 ESC 표면 온도랑 식각률의 차이가 어떤 관계로 있는걸까요?? [1] 2135
627 ICP와 CCP는 단순히 플라즈마를 생서하는 방법인가요? [1] 8769
626 CCP 구조가 ICP 구조보다 Arcing 발생에 더 취약한가요? [3] 3593
625 ESC Dechuck과 관련하여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를 드립니다. [1] 14895
624 CVD 막질의 성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1363
623 전자 온도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102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