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호서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재학중인 강병우라고 합니다.

스퍼터링을 공부하다가, 플라즈마에 대해 궁금한게 생겨서 질의 드립니다.

 "플라즈마 구 예시"(링크)

 

플라즈마 구의 경우, 중심부에 음극을 위치시키고, 구 안에 비활성기체를 넣어주고, 고전압을 걸어주면 방전현상이 일어나게 된다까지는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스퍼터링의 경우에는 음극과 양극이 위치하고 있어서, 방전으로 인해 생긴 전자가 양극을 통해 흘러서 전자의 흐름이 발생할 것입니다. 스퍼터링 기구 안에서의  전자의 흐름으로 인해 전자기파도 발생하고, 전자가 다른 입자에 부딪혀 여기시키면서 한번더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플라즈마가 빛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플라즈마구의 경우에 따로 양극이 없고 유리로 둘러쌓여있는데, 이 전자가 흘러나갈 수 있는 통로가 있나요?

 

손가락을 갖다 대거나 하면, 빛이 손가락 쪽을 향하는데, 그럼 이 플라즈마로 보이는 빛, 즉 전자가 유리를 뚫고, 손가락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인가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0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50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5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89
230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1032
229 전자 온도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1030
228 langmuir probe관련하여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1] file 1030
227 RF Antena와 Matcher 間 상관관계 문의드립니다. [1] 1028
226 고진공 만드는방법. [1] 1022
225 CCP에서 접지된 전극에 기판을 놓았을 때 반응 [1] 1021
224 아래 382 번 질문에 대한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1011
223 Shield 및 housing은 ground 와 floating 중 어떤게 더 좋은지요 [2] 1005
222 3-body recombination 관련 문의드립니다. [2] 991
221 Tungsten 표면 Contamination 제거(실명재등록) [1] 989
220 RF tune position 과 Vrms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1] 989
219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기 개발 문의 件 [1] 977
218 O2 Plasma 에칭 실험이요 [1] 975
217 상압플라즈마 제품 원리 질문드립니다 [2] 970
216 안녕하세요 플라즈마의 원초적인 개념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1] 947
215 플라즈마 기초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947
» 플라즈마 구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궁금합니다. [1] 945
213 RF 전압인가 시 LF와 HF 에서의 Sheath 비교 [1] 940
212 ICP BIPOLAR ESC 관련 이론과 Chuck Force 계산 질문드립니다ICP BIPOLAR ESC 관련 이론과 Chuck Force 계산 질문드립니다 [1] file 930
211 플라즈마 세정 장비 (CCP구조)에서 자재 로딩 수에 따른 플라즈마 효과 및 Discolor [1] file 92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