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형광등과 플라즈마

2004.06.19 16:24

관리자 조회 수:20263 추천:219

형광등 내부에는 플라즈마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때 생성되는 플라즈마는 다음과 같습니다.
형광등 양 끝에 있는 필라멘트에서 열전자가 방출되어 형광등 내에 있는 기체에 충돌하여 플라즈마가 형성되게 됩니다. 이 플라즈마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플라즈마 입자들이 형광등 표면에 발려져 있는 형광물질과 충돌하여 형광 물질들은 여기 상태로 에너지 전이를 하게 됩니다. 여기된 형광 물질들이다시 바닥에너지 상태로 되돌아 오면서 내는 빛이 형광등에서 나오는 가시 광선의 빛으로 우리 눈에 보이는 것입니다. 여기서 형광등 내의 전자의 온도는 수천도가 됩니다.(1 eV=11000 K) 하지만 이렇게 높은 온도를 갖은 플라즈마가 형광등 내에 있는데도 형광등은 뜨겁지 않지요. 만일 이들 온도가 형광등 표면에 그대로 전달된다면 형광등이 녹고 말겠지만 실제 백열등의 표면온도보다 형광등의 표면 온도는 낮습니다. 그 이유는 플라즈마 입자 하나의 온도는 높으나 입자의 수가 매우 적어서 실제 형광등 표면에 쌓이는 에너지가 높지 않기 때문입니다. 만일 플라즈마의 밀도가 매우 높아져서 형광등 표면에 이르는 입자수가 대단히 많아지게 되면 형광등의 표면온도도 올라가게 될것입니다.
(참고로, 표면의 온도가 올라간다는 것은 형광등 내부에서 발생한 플라즈마의 충돌로 인해서 표면에 많은 에너지가 쌓이며, 형광등 밖의 온도가 낮은 공기 입자들은 형광등 표면과 충돌하여 표면의 온도를 낮추게 됩니다. 여기서 형광등 내부의 플라즈마 밀도는 매우 낮으나 형광등 밖의 공기 입자들의 수는 매우 많아서 형광등 표면에 쌓이는 에너지의 효과는 미미하게 됩니다. 따라서 형광등의 온도는 공기온도와 유사하게 되는 것입니다. 백열등의 경우는 이와 반대가 되겠지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2] 7720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65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6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0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45
806 Surface wave plasma 조건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8
805 CCP Chamber 사용 중 Impedance 변화 원인 문의드립니다. [1] 20
804 Ion 입사각을 확인하는 방법 문의드립니다 [1] 22
803 C2H2 플라즈마코팅시 가스 원인과 대책 36
802 CVD 박막 Clean 중 Ar에 의한 Etch 여부가 궁금합니다. [1] 38
801 Druyvesteyn Distribution 47
800 DBD 방전 방식의 저온 플라즈마 관련해서 3가지 질문 드립니다. [1] 53
799 스터퍼링시 기판 온도 계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58
798 플라즈마 식각 커스핑 식각량 60
797 PECVD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조언 구합니다. 67
796 ICP Plasma etch chamber 구조가 궁금합니다. [1] 72
795 내플라즈마 코팅의 절연손실에 따른 챔버 내부 분위기 영향 여부 질문드립니다. [1] 76
794 공정 DATA TARGET 간 난제가 있어 문의드립니다. [1] 82
793 Ni DC 스퍼터 관련 질문있습니다. [1] 86
792 자성 물질 Etching 시 Process Parameter 질문 [1] 87
791 HE LEAK 과 접촉저항사이 관계 [1] 90
790 스미스차트의 저항계수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91
789 RF 반사와 전기에서 쓰이는 무효전력 반사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1] 102
788 플라즈마 설비에 대한 질문 110
787 RF magnetron Sputtering 공정에서의 질문 [1] 11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