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에칭후 particle에서 발생하는 현상

2004.06.19 16:44

관리자 조회 수:9546 추천:225

Etching 후에 particle에 발생하는 현상은 매우 일반적입니다. 사용하는 gas와 대상 시편간의 화합물 형성 조건과 반응기의 형태등에 따라서 particle 발생과 처리는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또한 이 같은 현상은 반응기 내부 구조에 따라 매우 민감하고 개스 흐름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반응기 내의 구조에 특히 민감합니다.
실험에서처럼 polymer가 형성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processing 사이에 산소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반응기를 cleaning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이용하고 있겟지요. 또한 반응기 구조에 개스 흐름이 모이는 곳이 없도록 내부 설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저희 실험실에서는 플라즈마내에 particle이 통과 하였을 경우 particle표면에
얼마나 많은 전하가 하전되는 가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는 표면적에 비례하여 하전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표면 전하에 의한 전위는 process중에 전기력을 형성하여 반응기 표면에 흡착되던가 자신의 중력을 상쇄하여 플라즈마내에 부유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플라즈마가 꺼지고 표면 전하가 사라지게 되면 균형을 이루던 힘이 깨지고, 즉 전기력을 손실하여 중력에 다른 particle의 자유 낙하가 시작될 것입니다. 이때 gas flow에 다라서 particl 이 배기 되지 못하면 남은 particle은 처리 시편에 떨어지게 됩니다. 이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반응기 내부 구조 설계와 배기 설계 등을 하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11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1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2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6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83
801 C2H2 플라즈마코팅시 가스 원인과 대책 27
800 Druyvesteyn Distribution 31
799 PECVD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조언 구합니다. 41
798 DBD 방전 방식의 저온 플라즈마 관련해서 3가지 질문 드립니다. [1] 44
797 플라즈마 식각 커스핑 식각량 47
796 스터퍼링시 기판 온도 계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47
795 HE LEAK 과 접촉저항사이 관계 [1] 53
794 공정 DATA TARGET 간 난제가 있어 문의드립니다. [1] 58
793 내플라즈마 코팅의 절연손실에 따른 챔버 내부 분위기 영향 여부 질문드립니다. [1] 69
792 자성 물질 Etching 시 Process Parameter 질문 [1] 77
791 Ni DC 스퍼터 관련 질문있습니다. [1] 78
790 스미스차트의 저항계수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88
789 Si 와 SiO의 선택적 식각 관련 문의입니다. 90
788 플라즈마 설비에 대한 질문 96
787 RF 반사와 전기에서 쓰이는 무효전력 반사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1] 97
786 Showerhead와 Heater간 간격에 따른 RPC 효율성 [1] 103
785 RF magnetron Sputtering 공정에서의 질문 [1] 107
784 새삼스럽지만 챔버 내에 전류의 정의를 여쭤보고싶습니다. [1] 113
783 진공 챔버에서 Plasma Off시 Particle의 wafer 표면 충돌 속도 [1] 116
782 RF generator의 AMP 종류 질문입니다. [1] 12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