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uttering 물리적인 sputterting

2004.06.19 16:51

관리자 조회 수:18384 추천:225

물리적인 sputtering은 표면에서 균일하게 일어남으로 큰 차이를 갖기 힘들 것입니다. 질문에서와 같이 inert 개스를 사용한 경우에는 sputter target은 일정하게 sputtering이 일어나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주 교수님 말씀과 질문하신 분의 말씀과 같이 산화물 등이 생성되는 환경에서는 sputter target표면에서의 sputtering은 일정하지 않을 조건이 형성될 것입니다. 이에 관해서 지난 난에서 설명한 바에 첨부를 하자면 대표적인 sputter인 magnetron의 동작에는 강한 자기장도 전기장이 형성되어 있는 환경입니다. 이들 전/자기장이 힘을 전달하는 입자는 하전 입자들입니다. 하지만 산화 막이나 sputter되어서 튀어나오는 입자들의 대부분은 전기적으로 중성을 띄고 있는 입자, 즉 중성 상태입니다. 이들은 전/자기장에 의해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주로 운동량에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 이 같은 환경에서는 화학 반응이 주된 반응 물리적인 반응보다 더 효율적인 반응이 됩니다. 따라서 sputter 표면 근방에서 형성된 중성 입자들의 움직임은 주로 충돌에 의한 운동량의 변화에 기인되게 되며 이들 중성 입자들이 반응기 공간 내로 혹은 다시 sputter 표면으로 움직이게 되는 인자를 제공하게 됩니다. 나아가 충돌이 주요 인자가 되다 보니 반응기 내에서의 평균 충돌 거리가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 충돌거리가 짧게 되면 당연히 표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나오던 입자들이 충돌에 의해서 되돌아 가는 확률이 높아질 것입니다. 여기서 생각해야 할 문제는 입자들의 화학적 반응성, 평균 충돌 거리등이며 전/자기장은 하전 입자들에 대새서 작용한다는 것 등입니다. 또한 sputter에서도 화학적인 반응의 결과들, 즉 sputter표면의 막의 형성, 과 물리적인 반응의 결과, sputtering은 늘 서로 경쟁을 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조금 차이는 나지만 식각에서도 유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080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39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0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4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55
61 ICP dry etch 장비에서 skin depth가 클수록 좋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1] 24405
60 플라즈마가 불안정한대요.. 24530
59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file 24636
58 H2/O2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꼭 답변점... [1] 24682
57 ICP Source에서 RF Source Power에 따른 위상차와 임피던스 변화 문의 [1] 24775
56 RF 플라즈마 챔버 내부에서 모션 구동 [1] 24782
55 plasma와 arc의 차이는? 24796
54 스퍼터링에서 DC bias의 감소 원인이 궁금합니다.. 24894
53 Reflrectance power가 너무 큽니다. [1] 24904
52 PECVD 매칭시 Reflect Power 증가 [2] 24994
51 스퍼터 DC 파워의 High 임피던스가 무슨 의미인가요? 25590
50 충돌단면적에 관하여 [2] 26202
49 dechucking시 Discharge 불량으로 Glass 깨짐 [3] 26231
48 OES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1] 26249
47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 26500
46 self bias (rf 전압 강하) 26759
45 이온과 라디칼의 농도 file 27033
44 플라즈마 챔버 의 임피던스 관련 [2] 27226
43 플라즈마 상태와 RF MATCHING관계 문의 사항 27656
42 DBD란 2776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