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 Plasma 유전체 플라즈마
2004.06.19 16:54
유전체 플라즈마에 관심이 많으시군요. 저희 실험실도 DBD 실험을 하고 있으며 자동차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질문에서 일반적인 DBD 반응기의 경우 구조가 전극+유전체+공기+유전체+전극의 구조로 되어 있고 그 이유에 대한 궁금증인것 같습니다. 전극 앞의 유전체가 하는 일은 발생한 플라즈마로부터 전극으로 직접 빠져 나가는 전하를 가두고 또한 이차전자를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일 전극 사이에서 플라즈마가 발생되면 전극 사이에 있는 공기는 더 이상 절연성이 높은 유전체가 아닙니다. 오히려 전기 전도도가 좋은 물질, 즉 플라즈마와 공기 개스가 혼재된 상태의 유전 물질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그 특성은 전극 표면의 유전체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입니다. 아울러 전극 간에서 일어나는 break down에 대하여 궁금해 하였는데 저희 강의록을 찾아 보면 Paschen curve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DC 방전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개념적으로 설명해 놓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라서 DBD에서 일어나는 방전은 corona 방전과는 달리 넓은 면적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특징을 갖아 면방전이라 부르기도 하는 glow 방전의 일종이 됩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9] | 9849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2389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60568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7244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103231 |
52 | rotational vibration excitation [TLD와 IRLAS] | 18289 |
51 | 플라즈마 matching [Heating mechanism, matching] | 20479 |
50 | DBD란 | 28053 |
49 | ccp-icp | 21904 |
48 | 플라즈마의 상태 | 14187 |
47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관계 | 28977 |
46 | 충돌 | 17860 |
» | 유전체 플라즈마 | 17706 |
44 | sputtering | 18412 |
43 | 증착에 대하여... | 18188 |
42 | nodule의 형성원인 | 16886 |
41 | 물리적인 sputterting | 18464 |
40 |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 15165 |
39 | 물질내에서 전하의 이동시간 | 29454 |
38 | CCP의 Vp가 ICP의 Vp보다 높은 이유 | 20131 |
37 | Plasma potential이.. 음수가 될수 있나요?.. | 15936 |
36 | 에칭후 particle에서 발생하는 현상 | 9807 |
35 | 플라즈마 절단기에서 발생 플라즈마 | 14896 |
34 |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표면개질에 관해 [1] | 15832 |
33 | 공정검사를 위한 CCD 카메라 사용 | 161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