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ision 충돌

2004.06.19 16:55

관리자 조회 수:17723 추천:225

충돌에는 탄성충돌과 비탄성충돌이 있다고 했습니다. 플라즈마의 발생은 주로 비탄성 충돌 중에 이온화 충돌 과정을 통해서 중성 입자들이 전하를 갖는 이온과 음전하의 전자로 이온화되고 이러한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서 다수의 전자들과 이온들이 공간내네 존재하는 것이 플라즈마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이온화 과정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중성입자가 이온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전달되어야 할텐데 이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달자가 주변에 있던 자유전자들이라 했습니다. 이들 자유전자들은 전기장하에서 쉽게 에너지를 얻으며 중성입자와 충돌하게 되는데 한번의 충돌에 의해서 중성입자들이 이론화에 필료한 에너지를 갖게 되는 것은 아니므로 잦은 충돌로 인한 에너지 전달이 필요한 것입니다. 또한 한번의 충돌에서도 효율적으로 전자가 갖고 있는 에너지가 전달되어야 할것입니다. 아울로 한번 충돌레 참여한 자유전자는 충돌 후에도 에너지를 계속 얻게되면 다음 충돌에서도 이온화 과정에서 자신의 역활이 유지될 것입니다. 이러한 조건들이 잘 형성되기 위해서는 자유전자가 에너지를 얻는 공간이 필요할 것이며 충돌 빈도가 너무 높지 않아야 할 것 입니다. 예를 들면 권투를 한다고 합시다. 이때 권투를 출근길 전철속에서 한다면 상대방을 아무리 때려도 효율적으로 때리기 힘들 것 입니다. 비록 잦은 주먹을 내더라도 상대가 가까이 있어서 상대에게 효률적인 가격이 되기는 힘듬니다. 비교적 팔길리가 제개로 펴질 공간이 마련되어야만 효율적인 공격을 이룰 수 있습니다. 대기압 출라즈마에서는 위에서 말한 충돌에 칠요한 위에 조건이 유지되기 매우 어려워 플라즈마 발생 및 유지가 어렵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1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50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5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91
70 플라즈마 물리학책을 읽고 싶습니다. 23490
69 N2 플라즈마 공정 시간에 따른 Etching rate의 변화 이유가 알고 싶어요 [2] 23800
68 Arcing 23892
67 플라즈마 쉬스 23995
66 plasma and sheath, 플라즈마 크기 24007
65 플라즈마에 관해 질문 있습니다!! 24127
64 self Bias voltage 24143
63 Dechucking 시 wafer 상의 전하 문제 24225
62 [질문] ICP plasma 를 이용하여 증착에 사용하고 있는데요. [3] 24402
61 ICP dry etch 장비에서 skin depth가 클수록 좋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1] 24446
60 플라즈마가 불안정한대요.. 24538
59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file 24667
58 H2/O2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꼭 답변점... [1] 24722
57 RF 플라즈마 챔버 내부에서 모션 구동 [1] 24790
56 ICP Source에서 RF Source Power에 따른 위상차와 임피던스 변화 문의 [1] 24797
55 plasma와 arc의 차이는? 24895
54 스퍼터링에서 DC bias의 감소 원인이 궁금합니다.. 24916
53 Reflrectance power가 너무 큽니다. [1] 24930
52 PECVD 매칭시 Reflect Power 증가 [2] 25002
51 스퍼터 DC 파워의 High 임피던스가 무슨 의미인가요? 2560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