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ise 문제는 RF ground 문제에서 야기되는 것 같습니다. RF grounding은 쉽지 않으며 글로도 쉽게 설명하기 어렵습니다만 일단 power line및 탐침 line의 shielding을 신경쓰고 load부분의 ground가 철저한가를 확인하기 바랍니다.

2. 탐침에 의한 식각 플라즈마의 진단 결과의 해석은 쉽지 않습니다. 탐침의 값이 무슨 의미인가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는 말입니다. 일단 Ar 플라즈마와 Cl2 플라즈마는 그 성격이 매우 다릅니다. Ar 플라즈마는 탐침에 큰 손상을 미치지 않습니다만 Cl은 탐침팁의 corrosion을 야기시킵니다. 따라서 탐침을 sweeping을 하는 동안 Cl2 플라즈마 내에서 탐침 팁의 표면적은 계속 줄어들고 있을 것 입니다. 이는 측정 시간에 따라 같은 조건에서라도 탐침 전류 밀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게 됩니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injection probe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순간적으로 탐침을 반응기 내에 넣었다가 빼면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혹은 Cl 플라즈마는 Ar 플라즈마와 달리 음이온을 많이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7족 개스들의 전자 친화력이 좋아 쉽게 음이온으로 전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음이온 발생은 power와 gas pressure에 함수가 됩니다. (저희 실험실 결과) 따라서 운전 압력이 높아지면 더 많은 음이온이 발생하고 특정 압력과 power에서 peak를 갖게 됩니다. (현재 저희 실험실에서ㅡㄴ Cl에 대한 자료는 없고 산소에 대한 자료는 저희가 얻어가고 있습니다. 곧  Cl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음이온의 발생은 대부분 전자의 흡착으로 형성되게 됨으로 음이온이 많이 발생하게 되면 플라즈마 내의 전자의 수는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탐침의 전자 전류도 같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전자 전류로 부터 플라즈마 밀도를 분석하고 있다면 음이온 발생에 따라서 플라즈마 밀도가 작게 관찰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이온 전류로 부터 플라즈마 밀도를 관찰하는 방법이 좋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9] 10108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29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094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2933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4842
73 DBD plasma [Excitation과 Power Current] 18200
72 corona [Streamer와 Impurity] 16058
71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Heating mechanism과 coolant] 17935
70 형광등으로 부터 플라즈마의 의해 [Filament, Sputtering] 17101
69 플라즈마 쉬스 [Sheath와 self bias] 24208
68 박막 형성 [ICP와 MOCVD] 15370
67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Collision과 Wall loss] 17604
66 플라즈마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코로나 방전, 먼지 집진] 19726
65 In-flight plasma process [Remote Plasma와 Plasma Torch] 15603
64 MFC [Direct liquid injection] 19398
63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장치 [Ozone과 Plasma] 29237
62 산업용 플라즈마의 특성 [Thermal Plasma와 Cold Plasma] 15275
61 플라즈마 처리 [표면처리와 Plasma Chemistry] 17025
60 플라즈마내에서의 아킹 [Charge와 plasma potential] 43911
59 우주 플라즈마 [Orora와 density] 14838
58 우주에서의 플라즈마의 성분비 [Orora와 density] 14649
57 [Q]플라즈마 생성위한 자유전자라는게 뭐죠? [Breakdown, cosmic ray] 19598
56 형광등에서 일어나는 물리적인 현상 [Film coating과 Ion frequency] 18655
55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Capacitance와 DC ripple] 18065
» Noise 문제, 탐침에 의한 식각 플라즈마의.. [RF ground와 Cl Plasma] 1979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