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n/Electron Temperature 플라즈마 온도

2004.06.21 15:18

관리자 조회 수:27858 추천:210

플라즈마 온도

질문은 플라즈마의 온도가 높은데 어떻게 반응기안에 존재할 수 있는가입니다.
이 질문에는 이전에 답을 드린적이 있어요. 수록된 글을 참고하기 바라며 짧은 답을 드립니다.
반응기 내에서으 플라즈마 밀도는 대기중의 공기에 비해서 매우 낮아요. 예를 들어 반응기 내에서 플라즈마 밀도는 단위 cm3당
10에 8-13승 정도 있었요. 이에 반해서 공기 1기압에는 약 10에 19승개 정도의 입자가 존재하고 있어요. 따라서 플라즈마 입자의
온도가 1도에서 10000도(1eV)로 높아져도 우리가 대기중의 공기 온도 1도(1K) 변화에 비하면 거의 그 변화를 느끼기 힘들겠지요.
이같은 이유로 인해서 플라즈마의 온도가 높다하더라도 반응기의 전체온도가 플라즈마 온도까지 높아질 수는 없고 반응기는 무사
합니다. 하지만 대기압 플라즈마, 즉, 플라즈마 토치나 spray등에서는 플라즈마와 그 주변의 공기의 온도가 모두 높아서 토치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 열을 이용하여 철제 강판을 절단하거나 합니다. 이때의 플라즈마 밀도는 낮아도 주변 공기입자와 많은 충돌
로 인해서 주변 공기입자의 온도를 수천도까지 높이게 되어서 접촉하는 물질을 용융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때에는 플라즈마
토치의 팁등은 잘 녹아 소모되기도 합니다.


계속 플라즈마 온도에 대해 관심을 가져보세요. 플라즈마의 특성중에서 플라즈마의 온도에 관한 관심은 매우 중요한 연구분야입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4] 7728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85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0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29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85
88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453
87 플라즈마 공정 후, 친수성으로 변한 표면의 친수성 제거 [1] 446
86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443
85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436
84 center to edge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2 433
83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432
82 PEALD 장비에 관해서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1] 431
81 CURRENT PATH로 인한 아킹 [1] file 422
80 애칭 후 부산물의 양을 알고 싶습니다. [1] 422
79 Edge ring의 역할 및 원리 질문 [1] 416
78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408
77 ICP 방식에서 RF Foward Power를 상향하면 ER이 빨라지는 이유 [1] 407
76 plasma modeling 관련 질문 [1] 397
75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file 397
74 plasma off시 일어나는 현상 문의드립니다 [1] 388
73 RIE 식각공정중 발생하는 가스를 예측할 수 있는 메카니즘에 대해 질문하고싶습니다. [1] 385
72 chamber에 인가 되는 forward power 관련 문의 [1] 383
71 반사파와 유,무효전력 관련 질문 [2] 382
70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1] 380
69 플라즈마 밀도와 라디칼 [1] 37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