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plasma cleanning에 관하여....

2004.06.21 15:39

관리자 조회 수:20847 추천:230

질문 ::

안녕하세요.
여기에 자주 들러 정보를 많은것을 배우고 있읍니다.
evaporation증착설비를 운영하고 있는데,저진공에서 plasma cleanning이라는 공정을 거칩니다.질소개스를 사용합니다.
plasma cleanning을 하는데 있어 원리와 보다 완벽한 cleanning을 하기위한 도움이 될만한 사항을 얻고자 문의를 드립니다.
더운데 수고하시고,건강하세요.

답변 ::

플라즈마를 이용한 cleaning에는 두가지 방법이 쓰입니다.
하나는 물리적인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화학적인 방법입니다. 여기서 물리적인 방법은 sputtering 효과에 의해서
이뤄지는 cleaning이라 할 수 있으며 화학적인 방법은 화학반응 즉 etching 과 같은 효과에서 이뤄지는 것 입니다
따라서 쓰던 반응기내의 잔유 물질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사용하는 개스를 잘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폴리머등의 잔유물에는 산소 플라즈마를 사용하곤 합니다.
물리적인 cleaning 방법에서 중요한 것은 벽으로 나가는 이온의 에너지 입니다. 이 에너지는 벽에 형성되는 쉬스
전위 차에 의해서 생기게 됩니다. 즉 그 값은 플라즈마 전위와 벽 전위 혹은 접지 전위와의 차이 값에 해당합니다.
이 값이 클 수록 에너지가 높은 이온이 벽으로 인가되고 이들이 벽에 남아있는 잔유물에 recoling 에너지를 주어서
벽으로 부터 떨어져 나오게 될 것 입니다. 물론 플라즈마의 밀도가 높을 수록 좋겠지요. 아울러
무거운 입자들이 유효합니다. 따라서 argon등의 개스가 선호되기도 합니다. 아울러 나머지 화학적인
성질이 매우 중요하게 됨을 고려하여 쓰시는 반응기에서 최적의 조건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2] 7719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5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5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9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38
185 DBD Plasma Actuator 원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820
184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818
183 Si Wafer에 Plasma를 처리했을때 정전기 발생 [1] 815
182 플라즈마 충격파 질문 [1] 810
181 Collisional mean free path 문의... [1] 803
180 OES를 이용한 Gas Species 정량적 분석 방법 [1] 798
179 새집 증후군 없애는 플러스미 - 플라즈마에 대해서 [1] 798
178 플라즈마 용어 질문드립니다 [1] 795
177 RF 주파수에 따른 차이점 [1] 787
176 Hollow Cathode glow Discharge 실험 관련해서 여쭤보고싶습니다. [1] file 781
175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1] 776
174 안녕하세요 OLED 증착 시 궁금한점이있어 문의드립니다 [2] 770
173 코로나 전류에 따른 발생되는 이온의 수와, 하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770
172 주파수 증가시 플라즈마 밀도 증가 [1] 769
171 RPS를 이용한 유기물 식각장비 문의 [1] 767
170 반도체 METAL ETCH 시 CH4 GAS의 역할. [1] 757
169 Ion과 Radical의 이동 거리 및 거리에 따른 농도와 증착 품질 관련 [1] 755
168 정전척의 chucking voltage 범위가 궁금합니다. [1] 754
167 플라즈마 진단 OES 관련 질문 [1] 752
166 O2 플라즈마 사용에 대한 질문을 드립니다. 74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