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sition DC SPT 문의 [절연체의 전위]
2004.06.25 16:39
질문 ::
문의드리고자 하는것은. DC SPT의 구조에 대하여 의문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 구조는 DC power supply[10kw] -> Cathode[magnetic] ->
target -> 기판을 코팅
■ process gas : Argon
In-line 구조로서, 캐리어가 무빙하면서 코팅이되는 방식입니다.
캐리어를 구동시켜주는 롤러, 상부를 지지하여 주는 롤러는 테프론으
로 절연처리되어있습니다.
■ 캐리어는 floating 되게 되어있는 구조입니다. 현재까지 floating에
큰 문제를 두지 않았는데요.
floating이 깨지게 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조금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답변 ::
문의하신 질문에는 사실 장치를 제대로 보지 않고서 답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일단 그려지는 그림으로 답을 드린다면 절연되어 있은 carrier가 플라즈마 내에 오래 머무르고 있는
상태는 아니라 생각됩니다. 해서 접지시킨 경우와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굳이 접지를 고려할
이유또한 없을 것 입니다. 만일 접지 시킨다면 구조상 다른 것이 변해야 하는 어려움을 수반할 터이니까요.
절연체가 플라즈마 내에 오래 머무르다 보면 절연체의 전위가 변하게 됩니다. 플라즈마 쉬스를 고려해 보면
답이 나오지요. 또한 절연체에는 전자에 의한 음전하가 쌓이게 되고 절연체는 전기 전도도가 낮음으로
어떤 일정지역에 전하가 몰려 있기가 쉽습니다. 이런 조건이 접지된 벽근처에서 형성된다 벽의 전위와 차이가
생기고 (전위와 하전량은 비례함으로) 절연체에 쌓인 전하는 접지쪽으로 빠져나가는 아크가 발생하게 됩니다.
국부적으로 검은 아크자국이 그래서 있는 것 입니다. 물론 이때 절연체를 도체로 바꾸고 접지시키면 해결이 되지만
절연체가 도체가 되었을 경우 처리하고자 하는 시편이 부도체라면 시편과 절연체(Carrier)사이에서 절연체와 벽사이에서
생긴 것과 같은 현상이 일어나 시편에 해가 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절연체의 전위는 시편의 입장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9] | 100752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2426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60893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7288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104642 |
» | DC SPT 문의 [절연체의 전위] | 19769 |
132 | ICP에 대하여 [DC glow 방전과 ICP 플라즈마 발생] | 18312 |
131 | SCCM 단위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Flow rate] | 148542 |
130 | Electrode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이차전자의 방출과 스퍼터링] | 17483 |
129 | 플라즈마에 대해서 꼭알고 싶은거 있는데요.. [디바이 차폐와 이온화된 가스] | 12497 |
128 | 반응기의 면적에 대한 질문 [전극의 면적에 따른 전압 강하] | 12899 |
127 | k star [기초과학지원 연구원] | 16014 |
126 | 플라즈마 물리학책을 읽고 싶습니다. [플라즈마 도서 추천] | 23924 |
125 | 플라즈마 분배에 관하여 정보를 얻고 싶습니다. [플라즈마 영향 인자] | 13298 |
124 | 저온 플라즈마에 관한 질문 | 18268 |
123 | 핵융합에 대하여 [상온 핵융합 관련 연구 동향] | 8628 |
122 | 기중방전에서 궁금한것이 | 19266 |
121 | sheath와 debye sheilding에 관하여 [전자와 이온의 흐름] | 28353 |
120 | 플라즈마를 손으로 만질 수는 없나요 [플라즈마의 온도와 밀도] | 19733 |
119 | 플라즈마와 비행기에 미쳤거든여…^ _ ^ ; [플라즈마 우주선 추진 엔진] | 15729 |
118 | 플라즈마를 알기위해서는 어떤것을 알아두는 것이 좋.. [플라즈마 기초] | 18089 |
117 | CCP/ICP에서 자석의 역할에 대하여 [ICP와 자기장의 역할] | 19455 |
116 | 플라즈마 실험 | 21412 |
115 | esc란? | 28270 |
114 | PDP 에 대해서.. | 183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