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 공부를 막 시작한 사회 초년생입니다
high votage를 가하면 충돌 단면적이 작아지고 mean free path가 커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이온화가 일어날 최대 확률(충돌 단면적)이 100ev에서 발생하는데
그 이상에선 감소하는데 그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댓글 1
-
관리자
2004.11.20 11:16
이 모두 속도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high voltage나 에너지가 놓아질수록 속도가 높아집니다. 속도가 높아지면 hard sphere가 아닌 이상 polarization effect등으로 충돌 단면적이 작아지고(속도가 느리면 전단지 뿌리는 사람의 전단지를 받지만 속도가 빠르면 옆에 전단지 주는 사람을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같다고 볼수 있겠네요) 충돌할 확률이 작아지니 더 멀리 가게 되서 mean free path가 커지게 됩니다. 이온화가 일어날 최대 확률도 높은 에너지를 가진 입자들이 속도가 높기 때문에 같은 이치로 감소하게 됩니다. 좀더 아시고 싶으시면 Michael A. Lieberman "Principles of plasma discharges and materials processing"의 앞쪽 부분을 참조하세요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58] | 7298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57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1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680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5997 |
184 | scattering cross-section, rf ground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2] | 19027 |
183 | Full Face Erosion 관련 질문 [2] | 19378 |
182 |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 | 26094 |
181 | 상압 플라즈마 관련 문의입니다. [1] | 21368 |
180 | RF에 대하여... | 28789 |
179 | Dechucking 시 wafer 상의 전하 문제 | 23832 |
178 | PECVD 매칭시 Reflect Power 증가 [2] | 24732 |
177 | RF를 이용하여 Crystal 세정장치 [1] | 18792 |
176 | RF plasma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 20632 |
175 | floating substrate 에서 sheath 형성 과정 의문점 [2] | 22483 |
174 | MATCHING NETWORK 에서 BACKWARD BIAS 가 생성되는 이유가 무엇 입니까? [3] | 22446 |
173 | glass 기판 ICP 에서 Vdc 전압 | 21478 |
172 | self bias (rf 전압 강하) | 26244 |
» | 궁금합니다 [1] | 16107 |
170 | DC Bias Vs Self bias [5] | 30847 |
169 | 핵융합과 핵폐기물에 대한 질문 | 15998 |
168 |
AMS진단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 | 18969 |
167 | Three body collision process | 20509 |
166 | 플라즈마에서 전자가 에너지를 어느 부분에서.. | 17473 |
165 | 스퍼터링에서 DC bias의 감소 원인이 궁금합니다.. | 245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