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ath self bias (rf 전압 강하)

2006.11.13 02:21

김곤호 조회 수:26784 추천:450

1.  플라즈마와 만나는 유리와 같은 절연체 표면에는 부유전위가 형성됩니다. 부유전위는 그 지점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조건에서의 전위를 말하고, 전류는 전자 전류와 이온전류의 합임으로 두 입자의 전류가 같은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부유전위는 공간 내의 플라즈마 전위보다 낮은데 그 이유는 이온의 유동도가 전자의 유동도 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절연체 표면의 절대 전하는 전자전하로 구성되기 때문입니다.
2. 이 경우를 확장하여, 만일 유리 기판의 한쪽 면에 도체 전극을 붙치고 rf 를 인가하면 플라즈마 내의 전자/이온의 유동도차이로 인해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판 표면의 부유 전위는 점차 낮아지게 됩니다. 이때 전자와 이온을 유전체(유리)기판 위로 끌어 들이는 힘은 전극에 걸리는 전압이 전극을 사이에 두고 만드는 기판의 표면 전압에 의해서 입니다. 만일 같은 크기의 양 혹은 음 전압이 걸리는 경우, 양전압 대해서는 전자들이 표면으로 입사되고, 음전압이 인가되면 이온이 표면에 입사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전자의 수가 많음으로 절연체 표면에는 전자들이 쌓이게 됩니다. (부도체 임으로 전하들이 쉽게 접지쪽 등으로 빠져나가지 못합니다). 따라서 쌓이는 전자들은 인가되는 rf 의 주파수와는 상관없는 직류적인 성질을 띄게 되며 음으로 낮은 전위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를 self bias (혹은 DC offset)이라 합니다.
- 위의 두 경우 모두 절연체를 대상으로 함으로 절연체에 흐르는 직류전류는 그 값이 "0"이 되어야 합니다. (2)의 경우에서 표면의 전위가 음으로 낮아진다고 하였는데, 그 크기는 표면에 들어오는 이온과 전자 전류의 값이 "0"이 되는 조건의 전위를 뜻합니다. 이 문제는 전자와 이온들이 반응기 전체로 빠져 나가는 "전체 면적 대비 유전체 전극의 크기 비율", 전자는 rf  주기 동안 따라서 움직이나 이온의 거의 움직이 못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이온의 플라즈마 주파수가 인가 rf 주파수 보다 낮은 경우에 한함. 하지만 고밀도에서는 이 조건도 수정이 필요함) 입사되는 두 입자의 거동이 다름으로 "인가 주파수의 크기", 전자의 거동은 지배적으로 전자 온도에 대한 함수임으로 "전자 온도 (혹은 전자 온도 분포함수)"에 따르게 됩니다.
- Rf을 인가하는 파워는 주로 전압인가이고 전류는 거의 흐르지 않음으로 절연체의 전력을 높였다는 말의 의미는 rf 전압이 커짐을 뜻하며, 절연체 표면의 부유전위를 측정하는 방법은 현재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일부 장치는 절연체 밑에서 전위를 측정하여, 절연체의 유전 상수등을 고려하여 표면전위를 유추하고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bias power는 절연체 인가 전압을 의미하고 이를 운전 인자로 활용하게 됩니다. 입력 rf 와는 구분할 필요가 있으나 입력 rf 에 의해서 플라즈마 자체가 입력 rf  주파수로 흔들리고 있는 경우에는 당연히 self bias 크기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그 영향은 입력 rf 에 의해서 얼마나 플라즈마 전위가 얼마나 크게 빨리 요동하는 가에 따른 문제로서, 이는 일부 플라즈마 발생 메커니즘과 연계하여 고려할 사항이 됩니다.
- Self bias를 예상하는 여러가지 수식들이 나와 있으나 위의 세가지 인자가 플라즈마 환경에 따라서 일부 변할 수 있는 값들임으로 현재까지 정확한 추정치를 예측하는 방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해진 유전체 물체와 크기 등, 플라즈마 조건 및 반응기 조건, 개스 등이 모두 일정하다면 예측가능한 지표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절연체 시편의 표면 전위 예측은 중요한 연구 대상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문제에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3] 77240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6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7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04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51
446 플라즈마용사코팅에서의 carrier gas [1] 847
445 RF MATCHING 관련 교재 추천 부탁드립니다 [1] 863
444 RF tune position 과 Vrms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1] 985
443 Frequnecy에 따라 플라즈마 영역이 달라질까요? [1] 576
442 Ar/O2 ICP 플라즈마 관하여 [1] 1681
441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file 397
440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3] 479
439 플라즈마 세라믹코팅후 붉은 이유는? 2349
438 Pecvd 장비 공정 질문 [1] 1694
437 CCP 챔버 접지 질문드립니다. [1] file 1350
436 DRY Etcher Alram : He Flow 관점 문의 드립니다. [1] 2392
435 Gas 별 Plasma 색 관련 질문입니다. [1] 3547
434 RF magnetron sputtering시 플라즈마 off현상 [1] 700
433 RF Generator 주파주에 따른 Mathcer Vrms 변화. [1] 1227
432 플라즈마 self bias 값과 압력, 파워의 상관관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2173
431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501
430 수중 속 저온 플라즈마 방전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file 601
429 자기 거울에 관하여 1150
428 플라즈마 장치 관련 기초적 질문입니다. [1] 832
427 Descum 관련 문의 사항. [1] 379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