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 김동석 입니다.

스퍼터링 장비 사용 중 학술적인 문의사항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1. DC sputtering 사용 중 power supply에 표시되는 DC bias는 막질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공부가 부족하여 단순히 Sheath에서 걸리는 전위차라고만 알고 있는데... 

    DC bias가 증가하는 경우와 감소하는 경우 성막에 어떠한 차이를 유발하는지 궁금합니다.


2. RF sputtering 에는 DC bias가 존재하나요?

    RF 스퍼터링의 경우 sheath가 생성되지 않으면 DC bias가 존재하지 않을텐데, 장비에는 어떤(?) 의미인지 모를

    bias가 표시되더라구요.. -40V 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이게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3. Matching box의 Ground는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나요?

    RF system의 접지를 floating으로 한 경우와, earth 를 잡았을 경우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면접지를 잡아야 한다면 다른 장비들과 어떤 식으로 연결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여러 자료를 찾아가며 공부하던 중, 토론방에 글을 올려봅니다. 

다른 글들도 읽어보았는데, 제가 플라즈마 전공자가 아니라서 잘 이해가 가지 않았어요..

많이 배워가겠습니다. ^^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0] 77134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2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3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7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94
382 N2 Plasma 상태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2306
381 e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1] 2292
380 RF frequency와 다른 변수 상관관계 질문 2292
379 ECR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2277
378 플라즈마볼 제작시 [1] file 2263
377 Etch 공정 Dummy 사용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1] 2255
376 부도체를 타겟으로 한 플라즈마 형성 원리 [1] 2255
375 양극 코로나 방전에 대한 질문입니다. [1] 2183
374 플라즈마 관련 기초지식 [1] 2159
373 플라즈마 self bias 값과 압력, 파워의 상관관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2158
372 [질문] Plasma 장비에 대한 Monitoring 질문 [2] 2145
371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2132
370 ESC 표면 온도랑 식각률의 차이가 어떤 관계로 있는걸까요?? [1] 2131
369 LF Power에의한 Ion Bombardment [2] 2116
368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1] 2080
367 RPG Clean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2] 2044
366 식각 시 나타나는 micro-trench 문제 [1] 2039
365 플라즈마 에칭 과 표면처리 의 차이점 질문드립니다. [1] 2032
364 CVD (CCP) 공정의 Chamber seasoning과 플라즈마 밀도 [1] 2029
363 chamber impedance [1] 202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