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Plasma 에칭 후 정전기 처리

2016.03.09 10:42

신나는ye 조회 수:3069

안녕하세요.
제가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칭 장비를 담당 하고 있습니다.
ICP 타입의 장비이며, 1Pa 조건에서 N2와 O2를 이용, RF Power 가하여
공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남아있는 전하에 의해서 정전기가 생기는것 같아
이것을 없애고 싶습니다.

지금 제가 생각하고 있는 방법은
에칭이 끝난 후에
Ar gas를 이용하여 RF Power 를 약하게 해서
후처리 형식으로 ,대전되있는 Glass를 제전시키고자 합니다.

자문을 구할때도 없고, 구글만 내내 검색하고 있던차에
플라즈마 응용연구실을 접하게되었습니다.
저보다 학식도 높고 플라즈마 분야에서는 전문가이실것 같아
이렇게 여쭤보게되었습니다.
도움부탁드립니다.


1. Plasma Etching 공정 후 남아있는 전하량 측정관련 참고문헌 소개.

2. 남아있는 전하량을 진공 (1Pa이하)에서 제거할수있는 방법 이 있는지.

3. Ar gas에 RF Power를 얼마나 가해야 플라즈마 상태로 바뀌는지.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2] 7719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5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5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9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38
485 Matcher의 Load, Tune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궁금합니다. [2] 6313
484 자료 요청드립니다. [1] 6214
483 모노실란(SiH4) 분해 메카니즘 문의 6118
482 코로나방전, 이온풍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file 6097
481 SiO2를 Etching 할 시 NF3 단독 보다 O2를 1:1로 섞을시 Etching이 잘되는 이유 [1] file 6000
480 안녕하세요. ICP 플라즈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문의를 드립니다. [3] 5970
479 OES를 활용한 excitation temperature 분석 질문입니다. [1] 5949
478 RF calibration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5867
477 RF Vpp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5712
476 ESC Chuck 기능이 Wafer 위에서의 Chemical Bond 생성을 boosting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1] 5625
475 DRAM과 NAND에칭 공정의 차이 [1] 5508
474 SiO2 식각 위한 Remote Plasma Source관련 질문 드립니다. [1] 5446
473 CCP 설비에서 Vdc, Vpp과 Power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file 5289
472 RF power에 대한 설명 요청드립니다. [1] 5220
471 매쳐에서의 load, tune에 대하여 좀 가르쳐 주세요~ [1] 5124
470 Sheath 길이와 전자의 온도 및 MFP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4872
469 챔버내 Arcing 발생 개선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4586
468 ESC 사용하는 PVD 에서 Center tap bias의 역할 4386
467 플라즈마 색 관찰 [1] 4351
466 Dry Etching Uniformity 개선 방법 [2] 433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