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ath CVD 공정에서의 self bias

2021.06.13 19:47

박관호 조회 수:3182

안녕하세요 반도체 제조업에서 설비업무 맡고있는 저년차 사원입니다.

 

self bias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메커니즘을 3가지정도 배웠습니다.

1. RF 관점에서 순전류는 0이어야하기 때문에 더 크고 무거운 ion을 끌어오기 위해서 전극의 전위가 낮아지는 효과

2. 전극의 크기 차이로 인한 전자의 축적으로 전극의 전위가 낮아지는 효과

3. blocking capacitor에서의 전자의 축적으로 전극의 전위가 낮아지는 효과

 

실제로 CVD chamber 내 shower head보다 heater의 크기가 작고 blocking capacitor의 존재로 2번, 3번은 납득이 됩니다..

 

사내 semina에서 배우기로는 ETCH 설비와 다르게 CVD 설비는 shower head에 RF가 인가되고 heater쪽이 접지로 연결되어 있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1번 효과에 의해 heater가 아니라 shower head쪽 전극이 음극역할을 하게 되는건가요???

(http://pal.snu.ac.kr/index.php?mid=board_qna_new&document_srl=81598 에서의 답변 참고했습니다)

 

만약 맞다면, 2번,3번 효과의 경우 heater쪽 전위가 낮아지게 되는걸로 보이는데, 1번에 의한 효과와 서로 경쟁하는건가요????

 

학부출신으로 회사와서 아는건 없고 궁금한건 많은데 얕게 배운 지식으로 업무와 연관지으려 하니 힘이드네요 교수님..

많이 배워가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114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1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2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6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82
501 Ar plasma power/time [1] 1448
500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1454
499 강의를 들을 수 없는건가요? [2] 1458
498 Plasma 발생영역에 관한 질문 [2] 1461
497 플라즈마 rotational temperature에 관해서 질문드릴게 있습니다. [1] 1470
496 rf chamber 내에 생기는 byproduct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1] 1471
495 RF 케이블 발열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1474
494 알고싶습니다 [1] 1475
493 Impedence 위상관련 문의.. [1] 1478
492 Ashing 공정에 필요한 O2 plasma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1486
491 ICP lower power 와 RF bias [1] 1488
490 charge effect에 대해 [2] 1489
489 PECVD와 RIE의 경계에 대해 [1] 1493
488 N2 / N2O Gas 사용시 Plamsa 차이점 [1] 1497
487 연속 plasma 방전시 RF power drop 및 Reflect 발생 [1] 1526
486 PECVD 증착에서 etching 관계 [1] 1534
485 glow 방전 현상과 플라즈마 현상에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2] 1540
484 데포 중 RF VDC DROP 현상 [1] 1542
483 IMPEDANCE MATCHING PATH에서 S/H ~ MATCHER 간 전력전송 방법들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1544
482 plasma 형성 관계 [1] 156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