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지금 플라즈마 진단을 위하여 QMA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RGA mode와 Ion mode가 있는데..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system은 electron beam의 에너지를 control이 가능한데..
1. RGA mode에서 electron beam의 에너지를 0eV로 한 경우와
Ion mode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2. Plasma를 여기시킨 상태에서 RGA mode를 사용하는 경우(위의
질문과 연관이 되는 것 같은데.. )
QMA의 gas input단에서 이온을 QMA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기능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수고하싶시오.. ^^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 10320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2469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61497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7350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105922 |
53 | self bias [Capacitor와 mobility] [1] | 19806 |
52 | rotational vibration excitation [TLD와 IRLAS] | 18307 |
51 | 플라즈마 matching [Heating mechanism, matching] | 20522 |
50 | DBD란 | 28122 |
49 | ccp-icp | 21975 |
48 | 플라즈마의 상태 | 14209 |
47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관계 | 29109 |
46 | 충돌 | 17901 |
45 | 유전체 플라즈마 | 17726 |
44 | sputtering | 18440 |
43 | 증착에 대하여... | 18216 |
42 | nodule의 형성원인 | 16922 |
41 | 물리적인 sputterting | 18479 |
40 |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 15188 |
39 | 물질내에서 전하의 이동시간 | 29470 |
38 | CCP의 Vp가 ICP의 Vp보다 높은 이유 | 20149 |
37 | Plasma potential이.. 음수가 될수 있나요?.. | 16016 |
36 | 에칭후 particle에서 발생하는 현상 | 9857 |
35 | 플라즈마 절단기에서 발생 플라즈마 | 14913 |
34 |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표면개질에 관해 [1] | 158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