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in general Frequnecy에 따라 플라즈마 영역이 달라질까요?
2018.12.26 15:02
PLASMA SPACING은 고정한채 Frequency만 조절하여 플라즈마 세로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까요?
Frequecny가 low일수록 이온의 움직일 수 있는 시간이 늘어 이온이 아래위로 더 움직일 수 있을거 같은데
이를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이나, 이 사실에 대해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 73034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3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17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700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031 |
466 |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1022 |
465 | Langmuir probe의 위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3] | 1098 |
464 | 상압플라즈마 제품 원리 질문드립니다 [2] | 823 |
463 | 식각 시 나타나는 micro-trench 문제 [1] | 1563 |
462 | plasma etching을 관련 문의드립니다. [1] | 1866 |
461 | Wafer particle 성분 분석 [1] | 2050 |
460 | 고온의 플라즈마와 저온의 플라즈마의 차이 [1] | 1595 |
459 | charge effect에 대해 [2] | 1240 |
458 | PECVD 증착에서 etching 관계 [1] | 1123 |
457 | 터보펌프 에러관련 [1] | 1559 |
456 | 프리쉬스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470 |
455 | 부가적인 스퍼터링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998 |
454 | 플라즈마 충격파 질문 [1] | 721 |
453 | ESC Cooling gas 관련 [1] | 3147 |
452 | O2 Plasma 에칭 실험이요 [1] | 820 |
451 | 플라즈마 코팅 [1] | 975 |
450 | 산소양이온의 금속 전극 충돌 현상 [1] | 2482 |
449 |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 379 |
448 | [CVD] 막 증착 관련 질문입니다. [4] | 1084 |
447 | RPS를 이용한 유기물 식각장비 문의 [1] | 593 |
게시판의 plasma in general 항목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확인해 보세요. 참고로, plasma heating은 electron을 표면 반응은 ion을 활용합니다. 또한 각각의 열운동 특성이 다름으로 thermal velocity가 다르며, 이에 따라서 rf 시간동안 반응할 수 있는 거리를 추론해 볼 수가 있고, 이 기반으로 전극 gap 사이에서 플라즈마의 입자들이 얼마나 움직일 수 있는가를 따져 볼 수가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