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r MATCHER 발열 문제
2018.04.11 18:14
안녕하세요
Ar + O2 wafer 크리닝 설비에
AE사 의 1000W 짜리 RF파워랑 매쳐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공정조건이 진공도 250mTorr에 800W에 800초인데 공정진행중
MATCHER 내부에 TUNE 코일을 고정하는 세라믹부에 발열이 너무 심해서 타버렸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조언좀 얻을수 있을까요
챔버의 임피던스 문제인지 매쳐가 고장인지....ㅠ
댓글 3
-
정소율
2018.04.16 13:11
-
심국보
2018.04.16 13:54
안녕하세요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질문이 있는데요..
스펙시트를 찾아보니 MAX RF LOAD CURRENT 값이 22A 이던데
그렇다면 800W = 22^2 * R 이면
R 값은 최소 1.65(옴) 이상이어야 전류가 22A 이하로 흐르는건가요?
추가질문으로 위에서 말씀해주신 실수 R 값은
임피던스=(R + XL + XC) 에서 R값인가요 아니면 임피던스 자체의 저항값인가요?
실수저항값을 높인다면
1)코일 끝단부에 저항 추가
2)코일 지름 증가 및 권선수 증가
등등으로 조치하는게 맞을까요...;
질문이 너무 초보적이라 죄송합니다...ㅠㅠ
-
정소율
2018.04.19 13:28
수식처럼 전류는 저항의 제곱근에 반비례합니다.
임피던스의 실수부 R입니다.
1. 저항이 전력을 소모합니다. -> 플라즈마 약화
2. L 변경 -> Cap도 변경해야할 가능성 큼, 플라즈마 임피던스가 변하지 않는 이상, 전류는 동일
장비를 사용하시는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우시겠지만
현재의 레시피는 매쳐의 스펙을 벗어났습니다.
레시피를 유지하시려면 매쳐를 업그레이드 하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43] | 5890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344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3164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09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5184 |
498 |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 1022 |
497 |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1] | 1026 |
496 | I-V characteristic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 1034 |
495 | ESC 표면 온도랑 식각률의 차이가 어떤 관계로 있는걸까요?? [1] | 1037 |
494 | 자기 거울에 관하여 | 1040 |
493 |
CCP 챔버 접지 질문드립니다.
[1] ![]() | 1048 |
492 | [CVD] 막 증착 관련 질문입니다. [4] | 1054 |
491 | Langmuir probe의 위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3] | 1067 |
490 | 플라즈마의 직진성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 1067 |
489 | PECVD 증착에서 etching 관계 [1] | 1078 |
488 | ICP Chamber Type의 Belljar Arcing관련 문의드립니다. [2] | 1097 |
487 | EEDF, IEDF, Cross section관련 질문 [1] | 1125 |
486 | 플라즈마 기초입니다 [1] | 1129 |
485 | CVD (CCP) 공정의 Chamber seasoning과 플라즈마 밀도 [1] | 1143 |
484 | Depo시 RF 초기 Reflect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 1153 |
483 | CVD품질과 RF Delivery power 관계 질문 [1] | 1167 |
482 | ICP reflecot power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1183 |
481 | Pecvd 장비 공정 질문 [1] | 1184 |
480 | RF 케이블 발열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 1195 |
479 | DBDs 액츄에이터에 관한 질문입니다. [3] | 1207 |
장비 측면만 설명드립니다.
플라즈마 임피던스의 실수(R) 값이 낮으면 전류량이 증가하여 발열합니다.
P=I^2*R , 극단적인 예로 플라즈마의 실수 임피던스가 0.1옴이라면 800W에서 출력단 기준 약 90Arms의 전류가 흐릅니다.
매쳐 네트워크의 Load(shunt) Cap.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R이 작아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코일은 실수 저항을 포함하므로 발열합니다.
코일이 냉각되도록 팬을 달거나, 적절한 수냉을 적용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매쳐는 (특히 AE제품은) 스펙시트에 사용 가능한 R(전류 포함)범위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메이커에 문의하시면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