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muir Probe 고전압 방전 전기장 내 측정
2018.09.18 09:43
안녕하세요. 한국기계연구원과 전기집진기 관련하여 테스트를 진행중인데,
여기에 플라즈마나 랭뮤어프로브와 유사한 기술이 관련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400mm*400mm 사이즈의 2개의 판재가 200mm 간격으로 배열되어있고, 그 중간 지점에 방전침이 있습니다.
방전판과 방전침 사이에 20kV정도 고전압을 인가하면 파란 방전이 약하게 형성됩니다.
X,Y,Z축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모션 스테이지 끝부분에 알루미나로 외부를 절연시킨 탐침침을 고정했습니다.
프로브를 밀어넣어 멀티미터로 측정하여 아래 그림와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저는 단순히 멀티미터에 방전판을 공통라인으로 연결하고 프로브에서 측정하였습니다만.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하여 측정을 해야한다는데, 바이어스전압이 어떤 의미인지? 어떻게 연결하여야하는지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현재는 프로브에 반대극성의 고전압을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생각중에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3] | 75735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1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48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96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148 |
557 | 엘립소미터 측정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1] | 983 |
556 | DC Plasma 전자 방출 메커니즘 | 990 |
555 | RF 반사파와 이물과의 관계 [1] | 1001 |
» |
고전압 방전 전기장 내 측정
[1] ![]() | 1003 |
553 | Plasma Etching 교재 추천 부탁드립니다.. [3] | 1005 |
552 | Dechucking과 He gas의 관계 질문입니다. [1] | 1005 |
551 | MFP와 Sheath 관련하여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 1005 |
550 | 플라즈마 코팅 [1] | 1013 |
549 | 공정플라즈마 [1] | 1028 |
548 | 대학원 진학 질문 있습니다. [2] | 1032 |
547 | Uniformity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 1042 |
546 | 플라즈마 주파수 예측관련 질문드립니다 [1] | 1050 |
545 | wafer bias [1] | 1053 |
544 | 산소 플라즈마 처리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 1063 |
543 |
O2 etch 후 polymer 변성에 관한 문의
![]() | 1071 |
542 | 플라즈마 챔버 [2] | 1074 |
541 |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1076 |
540 | Wafer Warpage에 따른 CCP Type Chamber 내부 Impedance [1] | 1079 |
539 | ICP-RIE etch에 관해서 여쭤볼것이 있습니다!! [1] | 1091 |
538 |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 1094 |
전극과 탐침과의 간격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 같습니다. 장비를 보면서 논의하는 것이 좋을 것 같으므로 플라즈마 문제를 다루는 KIMM 내에 플라즈마 기술팀과 협의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