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dot 플라즈마 진단에서 rogowski 코일 관련 질문 드립니다.
2017.11.27 04:58
플라즈마 진단에서 로고스키 코일의 역할이 무언가요?
로고스키 코일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 75425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61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5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63 |
528 |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 1091 |
527 |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 1093 |
526 | Plasma arcing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 1098 |
525 | Plasma Cleaning 관련 문의 [1] | 1105 |
524 | CVD 막질의 성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1113 |
523 |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 1120 |
522 | micro plasma에 사용되는 전력을 알고 싶습니다. [1] | 1122 |
521 | 플라즈마 관련 교육 [1] | 1128 |
520 | 플라즈마의 직진성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 1157 |
519 | N2 / N2O Gas 사용시 Plamsa 차이점 [1] | 1158 |
518 | I-V characteristic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 1182 |
517 |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1] | 1183 |
516 | [CVD] 막 증착 관련 질문입니다. [4] | 1185 |
515 | 부가적인 스퍼터링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1190 |
514 |
CCP 챔버 접지 질문드립니다.
[1] ![]() | 1202 |
513 | low pressure 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댜. [1] | 1206 |
512 |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 1212 |
511 | ICP Chamber Type의 Belljar Arcing관련 문의드립니다. [2] | 1216 |
510 | plasma 형성 관계 [1] | 1216 |
509 | 플라즈마 기초입니다 [1] | 1219 |
로고스키 코일은 플라즈마 전류로 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유도 기전력으로 측정하는 장치로서, Faraday's induction 법칙을 활용함으로 b-dot probe라고도 표현이 됩니다. 기전력 값을 키우기 위해서 coil turn 수가 늘어나게 되고, coil를 잘 감고 내부 기생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 coil의 역방향을 추가하는 등의 tip이 있습니다만, 기본적인 플라즈마 진단 방법이니 plasma diagnostics 관련 자료를 보면 구동 원리와 제작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겠습니다. 많은 경우 제작 한 후에 calibration 과정을 거쳐 민감도를 향상시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