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in general low pressure 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댜.
2021.04.09 12:04
안녕하세요, 교수님. 반도체 업종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김기영입니다.
다름 아니라 보통 Pressure 영역대가 낮아질수록 아킹이 더 잘 발생한다고 하는데
왜 Low Pressure 영역이 High Pressure 영역보다 Arcing 이 취약한지 문의드립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5] | 7578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73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80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8067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361 |
538 |
자기 거울에 관하여
![]() | 1101 |
537 |
RF Generator 주파주에 따른 Mathcer Vrms 변화.
[1] ![]() | 1102 |
536 |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 1102 |
535 |
ICP-RIE etch에 관해서 여쭤볼것이 있습니다!!
[1] ![]() | 1108 |
534 |
Group Delay 문의드립니다.
[1] ![]() | 1109 |
533 |
RF Power 인가 시 Gas Ramping Flow 이유
[1] ![]() | 1110 |
532 |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 | 1111 |
531 |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 1114 |
530 |
임피던스 매칭 및 플라즈마 진단
[1] ![]() | 1132 |
529 |
플라즈마 형성시 하전입자의 밀도와 챔버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2] ![]() | 1133 |
528 |
micro plasma에 사용되는 전력을 알고 싶습니다.
[1] ![]() | 1149 |
527 |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 | 1168 |
526 |
OES 분석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 ![]() | 1170 |
525 |
ICP lower power 와 RF bias
[1] ![]() | 1178 |
524 |
플라즈마의 직진성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 | 1180 |
523 |
Plasma arcing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 | 1185 |
522 |
Plasma Cleaning 관련 문의
[1] ![]() | 1188 |
521 |
플라즈마 관련 교육
[1] ![]() | 1207 |
520 |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1] ![]() | 1216 |
519 |
CVD 막질의 성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 1218 |
아크 발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파션커브를 이해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파괴전압-압력x길이(전극간의 거리 혹은 평균충돌 거리)로 pd 곡선이라고도 합니다. 본 게시판에서 글로우 방전, 파센곡선(커브) 으로 찾아 보시면 압력과 전기장과 재료 특성이 방전 개시에 미치는 영향이 있음을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클 것입니다. 아울러 챔버 내 기구 내에서 아크 및 벽면 분순물 근방 혹은 SH에서의 아크 등의 현상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