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곤호 교수님 안녕하세요~~


저는 ESC를 만드는 업체에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Display용 ESC, monopolar)


일을 하다보니 궁금한게 많은데 논문을 찾아보고 해도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들이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1. Dry etcher 공정중에 온도가 변화하면 ESC의 chucking force가 변화하나?

반도체 ESC에서는 비저항을 낮추기 위해 여러가지 물질들을 섞어서 chucking force를 증가시키고, 또한 공정중에 온도를 올려주면

비저항이 떨어져 Chucking force가 증가한다고 논문에 나와있습니다.

그럼 monopolar용 Al2O3를 기반으로 만든 대면적 dry etcher용 ESC는 온도가 올라가면 Chucking force가 달라질까요?

제 생각은 알루미나의 유전율이 바뀌지 않기 때문에 chucking force에 변화가 없을것으로 생각되어지는데 맞는지요?

2. 진공상태와, Air, 습도에 따라 당연히 Chucking force가 변화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공정중 압력의 변화가 있으면 Chucking force가 변화할까요?

1mTorr, 10mTorr에서 같은 파워에서는 플라즈마 밀도가 다르기때문에 이온들이 더 많이 끌려오는 10mtorr가 chucking force가 높을것으로 사료되는데 맞는지요? 또한 가스 유량 없이 펌핑만할경우에는 압력의 변화에 chucking force가 변화가 없는게 맞나요?

3. 디스플레이에서 유리 기판을 chucking을 하는데 dummy glass와 metal이 증착되어진 glass의 chucking력이 다른지요? 

제 생각은 metal이 증착되어 있는 glass가 chucking력이 높을거 같은데 이유는 glass위에 증착되어진 metal이 capacitance 역할을 하여 chucking force가 증가할거 같습니다.


저의 궁금한점과 짧은 생각을 적어놓았는데 시간 되실 때 답변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7501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885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339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684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8298
399 Load position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2189
398 플라즈마 방전을 위한 RF Power 공급시점에서의 반사파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2] 2192
397 RF frequency와 다른 변수 상관관계 질문 2197
396 CCP 설비에서 Vdc, Vpp과 Power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file 2218
395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2] 2235
394 plasma etching을 관련 문의드립니다. [1] 2239
393 플라즈마 세라믹코팅후 붉은 이유는? 2243
392 RIE에서 O2역할이 궁금합니다 [4] 2252
391 RF Power와 균일도 연관성 질문드립니다. [2] 2266
390 RIE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2307
389 Gas flow rate에 따른 etch rate의 변화가 궁금합니다. [1] 2309
388 PECVD Precursor 별 Arcing 원인 [1] 2311
387 Matcher의 Load/Tune Position 거동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2] 2314
386 Ta deposition시 DC Source Sputtreing 2316
385 안녕하십니까 파워업체 연구원 입니다. (챔버쪽 임피던스 검출) [1] file 2324
384 수소 플라즈마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2326
383 질문있습니다. [1] 2332
382 PE 모드와 RIE 모드에서 쉬스 구역에 대한 질문 [1] 2352
381 Plasma etcher particle 원인 [1] 2426
380 Edge ring 없이 ESC를 구현 가능한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2] 243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