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009.03.20 12:36

기계공학사 조회 수:26185 추천:279

RF에 관심이 많은 학구파 기계공학 엔지니어 입니다.

제목에서와 같이 공정챔버에서의 아킹원인과 노이즈에 관해 궁금한 것이 있어서 입니다.

우선 아킹(번개 등)의 원인이 전하차에 의해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희 공정챔버의 경우 기존 제품은 나름대로 양호하나, 현재 개조된 챔버에 대해서는

상당한 아킹과 노이즈를 겪고 있습니다.

우선, 개조사양은

챔버의 체적이 약 15% 커짐(고진공상태;100mTorr이하)

상부 안테나와 접하는 세라믹 순도가 99.98->99.99%로 변경(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임)

상부 안테나의 상부를 커버하는 알루미늄재질의 커버가 기존대비 약 10% 늘어남.

RF 구동 조건은

상부 13.56Mhz 약 5,000W
하부 13.56Mhz 약 7,000W

이며, 접지는 제3종 일것으로 생각됩니다.

여기서 아킹의 원인과 노이즈가 발생할 만한 것이 있을 수 있는지?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7502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886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34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684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8322
59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file 24215
58 플라즈마가 불안정한대요.. 24399
57 H2/O2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꼭 답변점... [1] 24400
56 OLED에서 SF6와 CF4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1] 24447
55 압력과 플라즈마 크기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1] 24450
54 OES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1] 24462
53 ICP Source에서 RF Source Power에 따른 위상차와 임피던스 변화 문의 [1] 24577
52 스퍼터링에서 DC bias의 감소 원인이 궁금합니다.. 24593
51 Reflrectance power가 너무 큽니다. [1] 24608
50 RF 플라즈마 챔버 내부에서 모션 구동 [1] 24645
49 PECVD 매칭시 Reflect Power 증가 [2] 24815
48 스퍼터 DC 파워의 High 임피던스가 무슨 의미인가요? 25486
47 dechucking시 Discharge 불량으로 Glass 깨짐 [3] 25587
46 충돌단면적에 관하여 [2] 25750
»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 26185
44 self bias (rf 전압 강하) 26352
43 이온과 라디칼의 농도 file 26569
42 플라즈마 온도 26966
41 플라즈마 챔버 의 임피던스 관련 [2] 27008
40 DBD란 2719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