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2022.09.20 20:49
안녕하세요. PECVD 공정 엔지니어로서 RPSC의 Cleaning 거동을 이해하고자 질문드립니다.
우선 CCP 형태 Chamber에서 Chamber 내 NF3가 공급되어 SiNx가 식각되는 Cleaning 공정을 가정하겠습니다.
Chamber Throttle Valve Position이 고정되고 Pump는 100% 성능으로 작동할 때, NF3를 공급하면 Pressure 곡선은 아래와 같습니다.
Chamber 내에선 SiNx와 NF3가 반응하여 SiF4가 생성됩니다.
Throttle Valve, Pump 상태는 동일하므로 배기되는 Output Volume Flowrate는 항상 같다고 가정했습니다.
Chamber 내 압력이 변동하되 Chamber Volume은 일정하므로, Chamber 내 Density는 Pressure에 비례할 것입니다. 즉, Fluid Density는 상기 곡선 상황에서 변동하는 Parameter입니다.
이때, 궁금한 것은 Residence Time 추이가 어떻게 변할지 입니다.
Residence Time은 Chamnber 내 Fluid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래 머무르고 가는지 의미합니다.
추론① 배기되는 Output Volume Flowrate, Chamber Volume이 일정하므로 Residence Time은 항상 동일하다.
추론② Input Volume Flowrate가 증가하더라도, 추론①대로 Residence Time은 항상 일정하다. → 이 경우, Input Volume Flowrate가 증가했음에도 Residence Time이 동일한 건 직관적으로 이상하지만, Density(혹은 Pressure)가 증가하므로 적절한 추론일 것이다.
추론③ Chamber 내 Fluid Density와 Throttle Valve를 통해 배기되는 Fluid Density는 동일하다.
상시 세 가지 추론이 적절한지 궁금합니다. 물론 정밀한 수준으로 정확한지를 따지기보단, 큰 개념으로 공정을 바라볼 때 위의 추론처럼 이해하는 것이 적절한지가 궁금합니다.
항상 질문에 친절하게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43] | 5835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29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3125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4509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5122 |
38 |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346 |
37 | 전자밀도 크기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Ar, O2, N2 가스) [1] | 342 |
36 | 반도체 관련 플라즈마 실험 [1] | 339 |
35 | OLED에서 SF6와 CF4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1] | 337 |
34 |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 330 |
33 |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 | 327 |
32 |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 324 |
31 |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 | 315 |
30 |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 312 |
29 |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 309 |
28 |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 304 |
27 |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 300 |
26 | 플라즈마 진단 OES 관련 질문 [1] | 278 |
25 | Chamber impedance 범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275 |
24 | 주파수 변화와 Plasma 온도 연관성 [1] | 263 |
23 |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1] | 260 |
22 |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 258 |
21 | OES를 이용한 Gas Species 정량적 분석 방법 [1] | 248 |
20 |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 247 |
19 |
RPSC 시 Pressure와 Throttle Valve Position의 관계
[1] ![]() | 244 |
TVP (throttle valve Position) 변화도 관찰해 보세요. 일반 진공 이론에서 conductance 개념도 고려해 보시면 residence time , 체류 시간에 대한 개념적 접근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