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sition 질문있습니다 교수님
2020.05.06 15:46
안녕하세요. 이제 막 반도체 수업을 듣기시작한 학생입니다. 한 질문에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4인치 웨이퍼 기준 100nm 두께로 구리 등 금속 박막을 대량으로 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인 부분이었습니다.
이때 제 생각으로는 CVD공정이 가장 적합한것이 아닌가? 라고 생각하면서도 각 공정마다 장단점이 있어 헷갈립니다.
PVD의 경우 증착속도가 느리고, ALD의 경우 낮은생산 성 등..
어떠한 공정이 가장 적합한 공정이 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 75019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86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340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842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302 |
519 |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 17619 |
518 | Plasma Gas의 차이점 [1] | 17593 |
517 | 불꽃이 쫒아오는 이유 | 17588 |
516 | 충돌 | 17569 |
515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상호작용 | 17551 |
514 | 플라즈마에서 전자가 에너지를 어느 부분에서.. | 17533 |
513 |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 17466 |
512 |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 17405 |
511 | 유전체 플라즈마 | 17395 |
510 | RF Power에 따라 전자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1] | 17360 |
509 |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 17285 |
508 |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 17189 |
507 | Electrode 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17177 |
506 |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 17120 |
505 | Light flower bulb | 17052 |
504 | 플라즈마를 이용한 발광시스템에 관한 연구 | 16974 |
503 |
PSM을 이용한 Radical측정 방법
![]() | 16972 |
502 | 형광등으로 부터 플라즈마의 이해 | 16955 |
501 | RF에 대하여,, | 16864 |
500 | 플라즈마 처리 | 16863 |
박막 관련해서는 군산대학교 주정훈교수님께 문의드려 보세요. 속시원한 답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