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 기초부분에서 에너지 분포와 이온화에 대한 질문입니다.
전자온도와 이온화 에너지가 주어져 있을때 에너지 분포(EEDF)를 이용한다면 전자의 약 %가 이온화에 기여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지요?
<구체적인 식이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온도가 3V , 이온화에너지가 약 15V라 한다면)
일정한 부피에 전자의 갯수가 정해져있을때 온도의 단위가 V(볼트)로 주어진다면 운동에너지를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 7542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61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5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65 |
368 | PR wafer seasoning [1] | 2615 |
367 | RF Power와 균일도 연관성 질문드립니다. [2] | 2602 |
366 | 플라즈마 밀도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 2586 |
365 | Edge ring 없이 ESC를 구현 가능한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2] | 2584 |
364 | Gas flow rate에 따른 etch rate의 변화가 궁금합니다. [1] | 2579 |
363 |
임피던스 매칭회로
[1] ![]() | 2578 |
362 | 산소양이온의 금속 전극 충돌 현상 [1] | 2543 |
361 | PE 모드와 RIE 모드에서 쉬스 구역에 대한 질문 [1] | 2488 |
360 | CVD 공정에서의 self bias [1] | 2487 |
359 | 수소 플라즈마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 2451 |
358 | RIE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 2407 |
357 |
안녕하십니까 파워업체 연구원 입니다. (챔버쪽 임피던스 검출)
[1] ![]() | 2399 |
» | 질문있습니다. [1] | 2394 |
355 | Ta deposition시 DC Source Sputtreing | 2331 |
354 | plasma etching을 관련 문의드립니다. [1] | 2323 |
353 |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2] | 2316 |
352 | 플라즈마 방전을 위한 RF Power 공급시점에서의 반사파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2] | 2310 |
351 | 플라즈마 세라믹코팅후 붉은 이유는? | 2287 |
350 | Load position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2279 |
349 | Si Wafer Broken [2] | 2257 |
전자의 에너지 분포함수를 Maxwell 분포로 가정하고 계산을 시작해 보세요. 에너지 함수로 변경하면 편리하며, 적분 구간을 이온화 에너지 부터 무한대 에너지까지로 적분해서 얻어지는 값이 이온화에 참여할 수 있는 전자 비율이 될 것입니다. 여기에 플라즈마 밀도와 플라즈마 부피를 곱하면 갯수가 되겠습니다. (전자 분포식은 모든 교재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겠습니다.)
만일 이들 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는 열에너지의 root 값으로 가늠해도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즉 v_th = sqrt (Te/전자질량).
여기서 한 걸음 나가 보면, 일반적으로 공정 플라즈마에서는 Maxwell 분포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으면 이온화 에너지가 13eV 이상이므로
이 에너지 이상의 전자 수는 확률적으로 보면 매우 낮습니다. 이 영역의 전자 (이름하여 분포의 끝자락에 놓인 전자, 즉 tail 전자라 부르거나 high energy electron들이라 불림)의 미세한 변화가 플라즈마 밀도를 바꾸게 되고, 공정의 변화가 유발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공정 플라즈마에 관심이 있으면 이 tail의 변동에 주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