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장비 업계에서 공정 담당을 하고 있는 엔지니어입니다.

 

이번에 Facing target sputtering(DC+RF dual)을 처음 접하여 진행중 동일 공정 조건으로 여러번 진행시

 

Dep 두께가 감소하는 현상과 함께 DC P/S 의 Voltage가 증가하고 A 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물론 같은 W입니다.(Watt 제어)

 

Gas는 Ar 50sccm O2 1sccm, 타겟은 ITO입니다.

 

20분정도의 짧은 시간의 Sputtering이며 단 2일간의 공정사이에 Voltage가 500V에서 600V 올라가는 현상도 같이 발생합니다.

 

RF와 동시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인지 처음 보는 현상이라 어렵네요

 

문의사항에 필요한 항목이 있으면 댓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슷한 경험이라도 있으신분은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73079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764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552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5733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6106
248 E-field plasma simulation correlating with film growth profile [1] 20
247 실리콘 수지 코팅 Tool에 Plasma 클리닝 시 코팅 제거 유/무 [1] 67
246 Self bias 내용 질문입니다. [1] 91
245 self bias [1] 129
244 구 대칭으로 편광된 전자기파를 조사할 때에 대한 질문입니다. [1] file 181
243 plasma modeling 관련 질문 [1] 239
242 공정 진행 중 의도적인 섭동 효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247
»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1] 274
240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1] 288
239 RF 전압인가 시 LF와 HF 에서의 Sheath 비교 [1] 301
238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311
237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file 328
236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334
235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file 338
234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345
233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345
232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363
231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365
230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377
229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38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