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n/Electron Temperature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2004.06.19 16:20
플라즈마를 구분함에 있어서 저온 플라즈마와 고온 플라즈마를 구분하기 위한 절대 온도의 개념이 설정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플라즈마의 경우 저온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핵융합과 같은 플라즈마의 경우 전자의 온도가 수 keV 가 됨으로 고온 플라즈마라 합니다. 산업용 플라즈마는 대부분 전자 온도가 10 eV 미만이며 이온의 온도는 이보다 매우 낮아 일반적으로 방안 온도와 유사하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실측된 이온 전자온도 값도 전자 온도의 1/10 미만의 크기를 보여줍니다.
이에 반해서 핵융합로 같이 플라즈마 구속이 좋은 경우 전자의 온도와 이온의 온도가 모두 수 keV가 되니 고온이라 할수 있으며 핵융합로 자체가 고온 고밀도 플라즈마에 대한 연구가 목적임으로 플라즈마의 발생과 구속 및 가열을 통하여 플라즈마의 온도를 향상 시킴니다. 산업용 플라즈마에서는 전자의 온도 상승이 대부분의 원치 않는 처리 결과를 야기함으로 낮은 전자온도의 플라즈마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또한 효율적으로 플라즈마가 구속되지 않음으로 전자 및 이온의 온도가 낮습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99] | 364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5324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0573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298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2052 |
240 | DC 글로우 방전 원의 원리 좀 갈켜주세여.. | 134045 |
239 | SCCM 단위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 118549 |
238 | VPP, VDC 어떤 FACTOR 인지 알고 싶습니다. [1] | 52088 |
237 | Self Bias | 35788 |
236 | RF frequency와 RF power 구분 | 34271 |
235 | 물질내에서 전하의 이동시간 | 29270 |
234 | 플라즈마 밀도 | 28791 |
233 | 반도체 관련 질문입니다. | 28476 |
232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관계 | 27210 |
231 | sheath와 debye shielding에 관하여 | 26780 |
230 | 플라즈마 온도 | 26566 |
229 |
이온과 라디칼의 농도
![]() | 26248 |
228 | self bias (rf 전압 강하) | 25828 |
227 | 충돌단면적에 관하여 [2] | 25318 |
226 | 플라즈마에 관해 질문 있습니다!! | 23641 |
225 | plasma and sheath, 플라즈마 크기 | 23537 |
224 | 플라즈마의 정의 | 23480 |
223 | 플라즈마 쉬스 | 23356 |
222 | 플라즈마 물리학책을 읽고 싶습니다. | 23007 |
221 | self Bias voltage | 22762 |